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감마스퀴즈란?

by 평사부 2022. 3. 12.
반응형

숏스퀴즈와 비슷한 개념으로 옵션 권리 행사 후 손해를 줄이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여 일어나는 감마 스퀴즈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주식 용어 숏 커버링이란?

 

주식용어 숏 커버링이란?

공매도 주식을 되갚기 위해서 주식시장에서 다시 주식을 사들이는 숏커버링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숏커버링이란? 숏커버링(Short covering)은 주식을 매도 또는 공매도를 통해서 매도한 주식을 다

normal-humanrich.tistory.com

주식 옵션이란?

 

주식 옵션이란?

옵션(Options)에 대해서 말해 보겠습니다. 옵션이란? 옵션은 기초자산을 만기시점에 행사 가격에 사거나 팔 수 있는 권리를 주고받는 계약 옵션은 선물과 매우 비슷하지만 조금 다릅니다. 주식 선

normal-humanrich.tistory.com

감마 스퀴즈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주식옵션에 대한 개념과 숏커버링, 숏스퀴즈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이해가 좀 더 쉽다.

감마 스퀴즈란?

감마 스퀴즈(Gamma squeezes)는 특정 가격에 판매하겠다는 옵션(콜옵션)을 판매한 기관이 추가적인 주가 상승에 따른 손해를 막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는 행위로 인해 주가가 더욱 상승하는 현상

 

감마 스퀴즈는 자주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며, 특정 가격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매도한 기관이 주가 상승으로 인한 손해를 막기 위해서 주식을 추가 매집하게 되어 추가적인 주가 폭등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현재 주당 1000원인 주식을 11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콜옵션)를 100원에 판매했다고 해봅시다.

이후에 주가가 하락하여 700원이 되었다면 권리를 판매한 기관은 100원의 이득을 보게 되고, 1100원에 살 수 있는 권리를 산 매수자는 권리를 행사하지 않고 그냥 100원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이후에 주가가 상승하여 1500원이 되었다면 1100원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산 매수자는 실질적으로 1200원에 주식을 매수하게 되어 (1100원에 주식 매수, 권리 구매비용 100원=1200원) 300원의 이득을 보게 됩니다. 기관은 권리를 행사하는 옵션 매수자에게 주식을 주기 위해서 1500원에 주식을 매수해 1100원에 주식을 판매해야 합니다. 그러면 300원의 손해를 보게 됩니다. 이렇게 끝나게 되면 300원의 손해를 보고 끝이 난다면 감마 스퀴즈는 일어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호재나 여러 이유로 더욱 큰 주가 상승이 예상된다면 콜옵션을 판매한 기관은 손해를 막기 위해서 주식을 매입해둬야 합니다. 주가가 더욱 상승해 2000원, 3000원이 되어 버리면 훨씬 더 큰 손해를 보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감마 스퀴즈가 일어나게 됩니다. 주가가 더욱 상승할 것이 예상되고, 손해를 막기 위해 기관에서 주식을 매수하고, 호재나 여러 이유로 인한 매수자가 늘어나게 되면서 주가가 폭등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리해서 말하면 콜옵션(특정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을 판매한 기관이 주가가 상승할 것을 예상해 손해를 막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게 되고, 호재로 인한 투자자들의 주식매수로 주가가 폭등하게 되는 현상입니다.

감마 스퀴즈 이후 주가

감마 스퀴즈 이후에는 주가는 폭등한 뒤 점점 매수세가 줄어들어 주가는 적정주가로 다시 찾아오게 되는 경우가 많다.

감마 스퀴즈는 기업의 가치로 인해 주가가 상승한 것보다 더욱 큰 상승을 한 것이기 때문에 주가는 기업가치에 맞게 내려오게 되는 경우가 많다. 특정 조건으로 인해서 주가가 폭등한 것이기 때문에 감마 스퀴즈 이후에는 주가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개인적인 경험으로는 감마 스퀴즈나, 숏스퀴즈 현상으로 인해서 주가가 무리하게 상승했다고 해서 매도 후에 다시 매수해야겠다는 생각은 자신을 너무 과대평가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언제 감마 스퀴즈, 숏스퀴즈 현상이 끝날지도 모르고, 어디까지 주가가 하락할지도 예측할 수 없기도 하고, 감마 스퀴즈, 숏스퀴즈 현상이 끝나더라도 다른 호재가 나와 주가는 더욱 상승하게 될지도 모르고, 무조건 감마, 숏스퀴즈 후에 주가가 하락하는 것은 아니다. 장기투자자 관점으로 주가가 조정을 받더라도 흔들리지 말고 펀더멘탈이나 기업의 가치가 변하지 않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