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CDS란? 신용부도스와프

by 평사부 2022. 8. 19.
반응형

 

CDS뜻 신용부도 스와프란?

CDS(Credit Default Swap)는 부도의 위험만 따로 분리시켜 사고파는 신용 파생상품이다.

 

swap는 대체하다 혹은 바꾸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신용부도 스와프는 부도위험을 상품을 만들어 수수료를 주고 위험을 수수료를 받은 회사에게 전가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쉽게 이해하려면 금융 시장에서 거래되는 보험상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매입한 채권이 기업의 도산, 부도 등으로 가치가 없어지게 되는 것을 대비해 보험을 드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될 것입니다.

투자한 채권의 원리금을 회수할 수 없게 되면 보험료(수수료)를 받은 회사가 대신 갚아주는 형태입니다.

돈을 갚지 않을 위험과 수수료를 서로 교환하는 거래라고 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은행이 B회사에게 1억을 빌려줬다고 합시다. A은행은 B회사가 도산 또는 파산 혹은 부도 위험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부도가 날것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 부도위험을 다른 은행이 책임졌으면 합니다.

이럴 때 , C은행이 B회사가 부도가 날 확률은 매우 낮다고 보고 A은행과 1억 원을 B회사가 갚지 못하면 대신 갚아주겠다는 계약을 하는 대신 1억 원에 대한 1년마다 일정 수수료를 받고 싶어 합니다. 

이렇게 A은행이 이 계약을 체결하게 되면 CDS 즉, 신용부도 스와프를 체결하게 되는 것입니다.

A은행은 B회사의 부도위험부담을 줄일 수 있고, C은행은 B회사가 부도가 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해 일정 수수료를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서로서로 이해관계가 맞아 CDS 계약을 하게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중 스핀오프란?  (0) 2022.08.23
외평채란? 통안채란?  (0) 2022.08.22
FOMO증후군 , 포모증후군이란?  (0) 2022.08.18
AFFO란 무엇인가?  (0) 2022.08.17
FFO란 무엇인가?  (0) 2022.08.1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