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트리플 약세란?

by 평사부 2022. 12. 7.
반응형

트리플 약세란?

트리플 약세는 주가, 채권, 원화가치가 모두 하락하는 현상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주가와 채권은 반대로 움직인다. 금리에 따라서 주가는 금리가 하락할 때 상승하게 되고, 채권 가격은 금리가 오르게 되면 하락하기 때문이다. 원화가치는 일정 수준 안에서 유지되는 경우가 많다. 즉, 트리플 약세는 흔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현상은 투자자들이 주식과 채권시장에서 자금을 회수해 해외로 빠져나가게 되면 나타난다. 오랜 경제 위기와 신용등급의 하락으로 채권 가격이 떨어지게 되면서 이를 위한 해결책으로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올리게 되고, 고금리로 인한 주식시장의 약세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 지속되면 투자자들이 자금을 회수해 해외로 투자하게 되면서 통화가치까지 떨어지게 되는 트리플 약세가 나타난다. 대표적인 트리플 약세는 90년대 초 일본에서 버블경제의 붕괴로 외국인 투자자금이 해외로 빠져나 갔을 때이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간접자본 SOC란?  (0) 2022.12.11
풍선효과란? Ballooneffect  (0) 2022.12.09
레몬시장이란? 레몬마켓이란?  (0) 2022.11.25
모라토리엄(moratorium)이란?  (0) 2022.11.15
프리터족이란?  (0) 2022.10.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