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캥거루족이란?

by 평사부 2023. 10. 13.
반응형

경제적, 정신적으로 자립심이 부족하여 부모에게 의존하는 삶을 사는 젊은 세대를 가리키는 캥거루족의 뜻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캥거루족이란?

경제적, 정신적으로 자립심이 부족하여 부모에게 의존하는 삶을 사는 젊은 세대를 가리키는 말

 

사회적으로 성인이 되고 독립할 정도의 나이가 되었지만 모든 경제력을 부모 또는 가족에게 의존하는 사람의 모습을 어미 캥거루의 주머니 안에서 먹이를 받아먹고 천적으로부터 보호받는 새끼 캥거루의 모습을 보고 만들어낸 부정적인 표현이다.

한국에는 없는 '캥거루'에 빗대어 만들어낸 신조어이지만 한국에서 만들어진 단어로 외국에는 이를 표현할 수 있는 단어는 없지만 비슷한 캐나다의 '부메랑 세대'일본의 '니트족'등이 유사한 단어라 할 수 있다.

캥거루족이 생겨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대부분의 자녀들이 대학에 진학하고 있고, 대학을 다니는 중에도 휴학하여 알바나 자격증 공부등을 위해서 취업준비생들의 나이가 늘어나면서 취업준비생 기간이 늘어나면서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캥거루족은 꾸준하게 늘어나고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캥거루족이라고 부를 때는 주의할 점이 있다. 단순히 부모님과 같이 산다고 해서 캥거루족이라고 볼 수는 없다. 경제적인 활동을 하지 않고, 정신적으로도 충분히 독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전적으로 부모님의 경제력으로 살아가고 있는 20~30대를 말하는 것이다. 부모님에게 생활비는 보태거나 일을 하면서 돈을 아끼기 위한 방법으로 부모님과 같이 사는 경우 같은 경우는 캥거루족이라고 보기는 힘든 것이다. 

비슷한 의미를 가진 단어가 많다. 전 세계적으로 취업이 힘들고 경제침체가 장기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일본의 히키코모리나 패러사이트, 니트족 등, 미국의 트윅스터, 프랑스의 탕기, 이탈리아의 맘모네, 영국의 키퍼스, 독일의 네스트호커, 캐나다의 부메랑 키즈 중국의 전업자녀등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부모가 모든 것을 다 해주면서  자립심을 키워주지 못했거나, 취업이 장기화되면서 포기해 버리는 사람들, 청년실업률, 경기침체 등의 문제 때문이라고 보는 시선이 많다.

또한 이러한 취업을 하지 않고 부모님에게 의존하게 되면서 악순환을 만들고 있다. 부모님에게 경제적인 지원을 받아서 생활하는 이러한 캥거루족들은 부모님이 경제활동을 하지 못하게 되면 어떻게 살아가게 될 것인가. 또한 한정된 돈으로 살아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적어지게 된다. 이러면 생산자가 적어지게 될 수 있다. 한정된 돈으로 삶을 이어나가게 되면 소비를 줄이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소비가 줄어들면 외식업자나 소상공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회사가 돈을 적게 벌게 되어 직원을 적게 뽑게 되고, 또 소비자가 줄어들고,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