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서든 스톱이란? Sudden Stop

by 평사부 2023. 10. 15.
반응형

서든 스톱이란? Sudden Stop 

서든스톱은 외국 자본의 유입이 갑자기 멈추고 반대로 대규모 유출로 돌아서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서 예상하지 못한 외국 자본의 유입 중단에 따른 대규모 자본의 유출로 인하여 외화 유동성이 고갈되는 현상을 말한다.

자본주의의 서든 스톱은 상당한 경제적 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 국가의 정상적인 경제 균형을 이루지 못하게 한다.

1995년 루디 거 돈부시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MIT) 교수가 멕시코 페소화 가치 붕괴의 원인을 다루면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외환보유액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한 나라 경제를 위기를 만들 수 있다. 2008년 리먼브라더스 파산 이후 전 세계 금융기관들이 일제히 자금을 회수해 가면서 한국 금융시장은 극심한 달러 고갈로 위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서든 스톱의 사례

  • 1994년 멕시코 페소 위기

1994년 멕시코는 투자자들이 자본을 빠르게 철수했을 때 서든스톱이 일어났다. 심각한 경제 불황으로 이어졌다.

  • 1997년 아시안 금융위기

아시아 금융 위기가 서든스톱의 주목할만한 예이다. 태국, 인도네시아, 한국에 영향을 미쳤다. 외국 자본의 철회로 인해서 경제 혼란으로 이어졌다.

  • 2008년 금융위기

리먼브라더스 사태로 인해서 미국 주택시장 붕괴는 달러화를 가지고 있던 외국인 투자자들이 달러를 회수해 가면서 서든스톱현상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경제 침체로 이어졌다.

 

서든스톱의 영향

  • 환율

서든스톱의 즉각적인 결과는 국가의 통화의 감가상각이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달러나 외화들을 회수해 가면서 국가의 통화의 가치가 하락하면서 무역으로 인한 이득이 줄어들거나 적자로 이어져 무역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재정 정책의 변화

정부 및 중앙은행들은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조정하다가 서든스톱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한 정책이 서든스톱을 발생시켜 경제침체로 이어지게 되면 통화 정책과 재정 정책을 조정해 서든스톱을 막아 경제침체를 방지하기 위해서 갑작스럽게 정책을 바꾸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 무역과 외국인투자

낮아진 환율로 인해서 기업들의 이익은 줄어들어 경제침체로 이어지게 되고 이를 본 외국인 투자자들은 더 이상 투자하지 않고 더 많은 외화가 유출될 수 있고, 무역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