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적 완화란?
질적 완화(Qualitative Easing)는 중앙은행이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금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회사채나 ETF 등 위험자산을 직접 매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봤지만 질적완화에 대해서는 잘 들어보지 못한 경우가 많을 것이다. 중앙은행이 시중에 유동성을 늘리기 위해서 하는 정책은 크게 QQE(양적완화와 질적완화) 두 가지이다. 양적완화는 비교적 안전자산인 국채, 주택저당채권, 공사채 등을 매입하지만 질적완화는 비교적 위험자산인 회사채, 주식, ETF 등을 매입하는 것이다. 쉽게 말해 질적완화는 자산의 질을 조정하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양적완화란? 무엇인가?
양적완화란 무엇인지와 시장 활성화를 위해 국가 혹은 중앙은행이 하는 정책, 미국의 양적완화 사례, 양적완화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목차 양적완화란? 양적완화 뜻 양적완화 (Qua
normal-humanrich.tistory.com
질적완화의 특징
- 비교적 안전자산(국채, 공사채 등)은 매도하고 비교적 위험자산(주식, 회사채, ETF 등)을 매수한다.
- 금융시장에 평균적인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들의 위험 자산에 투자하는 것을 선호하게 유도
- 침체된 경기를 중앙은행이 직접적으로 위험자산을 매입함으로써 유동성을 높인다.
양적완화는 비교적 안전한 채권들을 사들이지만 질적완화는 비교적 위험자산을 사들인다. 그래서 주식, 회사채, ETF 등을 매입함으로써 투자자들이 비교적 위험자산으로 주목해 자본이 점점 위험자산으로 흘러들어 가게 만들어 기업에 투자하는 자본이 많아져서 경기부양을 노리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질적완화의 단점 및 문제점
- 위험자산을 매입하는 것이기 때문에 원금손실의 위험이 있다.
- 위험부담이 개인이 아닌 공공부문의 위험으로 이어지면서 납세자에게 부담할 수 있다.
중앙은행이 실시하는 정책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재정정책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위험자산(회사채, 주식, ETF)등을 직접적으로 매입하기 때문에 원금손실의 위험을 가지게 됨으로써 정책적으로 매입했던 자산들이 하락하게 되면 손해를 납세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워세션이란? (0) | 2022.04.28 |
---|---|
그린 딜이란? 그린뉴딜이란? (0) | 2022.04.26 |
풀필먼트 란? 풀필먼트 뜻 (0) | 2022.04.21 |
일드 커브 컨트롤 (YCC Yield Curve Control)이란? (0) | 2022.04.20 |
경제 고통지수란? (0) | 2022.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