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동자산이란?
유동자산은 짧은 기간(일반적으로 1년) 안에 현금으로 바꿀 수 있는 자산
유동자산은 다른 말로 현금성자산이라고 표현하기도 하고, 4가지 조건중 하나라도 만족한다면 유동자산이라고 표현한다.
- 기업의 정상영업주기 내에 실현될 것으로 예상되거나, 판매목적 또는 소비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 주로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다.
- 재무상태표일 후 12개월 내에 현금으로 실현될 수 있다.
- 재무상태표일 후 최소한 12개월간은 교환이나 부채상환에 제한이 없는 현금 또는 현금성자산이다.
쉽게 풀어서 이야기하면 유동자산은 1년 내에 현금화가 가능하다면 유동자산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유동자산은 현금, 달러화, 금, 외화, 수표, 매출 채권, 단기예금(CMA), 단기매매증권(단기채권), 주식 등이 있다.
비유동자산이란?
비유동자산은 1년 이내에 유동화되지 않는 자산을 말한다. 고정자산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위에 유동자산의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모든 자산이 비유동자산이다. 다시 말해서 비유동자산은 판매 또는 처분을 목적으로 하지 않고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영업활동에 사용하고자 취득한 각종자산이다. 형태에 따라서 유형자산, 무형자산, 투자자산, 이연자산 등이 있다.
- 유형비유동자산 : 건물, 설비, 토지, 차량 등의 구체적인 형태가 있는 자산
- 무형유동자산 : 형태는 없지만 법률사로 인정되고 있는 권리, 영업권, 특허권, 상표권, 어업권 등이 있다.
- 이연자산 : 지출한 비용 가운데 그 비용의 효과가 장래에까지 미치는 자산으로 창립비, 개업비, 연구비, 개발비 등이 있다.
- 투자자산 : 장기금융상품, 투자유가증권, 장기대여금, 장기성매출채권, 투자부동산, 보증금등의 투자를 위해 장기 보유하는 자산을 말한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 CPTPP란? (0) | 2023.02.05 |
---|---|
정크본드란? Junk Bond (0) | 2023.02.05 |
ICT란? (0) | 2023.02.04 |
부동산 프리미엄이란? 플러스피란? 마이너스피란? (0) | 2023.02.03 |
가로주택정비사업이란? (0) | 2023.02.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