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유동부채란? 비유동부채란?

by 평사부 2023. 2. 6.
반응형

유동부채란?

유동부채는 1년 안에 채무상환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는 부채

 

다시 말해서 1년 안에 갚아야 하는 돈이다. 유동부채는 외상매입금, 지급어음, 금전채무, 1년 이내의 단기차입금, 미지급금, 선수금, 예수금, 충당금 등이 속한다. 기업이 재무가 탄탄하려면 유동부채보다 많은 돈을 유동자산으로 보유하고 있어야 재무건전성이 좋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유동부채와 유동자산의 차이를 운전자본이라고 하며, 경영자가 단기 기업활동을 수행할 때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자금이다.

 

비유동부채란? 고정부채란?

비유동부채는 1년 이내에 상환되지 않을 부채

 

다시 말해서 1년 안에 갚지 않아도 되는 빚을 말한다. 차입금, 순확정급여부채, 기타 충당부채 등이 이에 해당한다. 빠른 시일 내에 갚아야 하는 돈은 아니지만 언젠간 갚아야 할 돈이 기 때문에 비유동부채가 너무 높으면 재무건전성이 좋다고 할 수는 없다.

 

유동부채와 비유동부채(고정부채)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빚 즉, 부채의 양을 알 수 있고, 재무건전성이 어느 정도 인지 알 수 있는 판단할 때 도움을 주고, 기업의 현금흐름에 대해서도 알 수 있다. 같은 부채를 가지고 있는 기업이라고 할지라도 빠른 시일 내에 갚아야 하는 유동부채가 더 높은 기업의 경우에는 당장의 현금흐름은 힘들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고, 반대로 유동부채가 적은 기업이라면 현재의 현금흐름이 좋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약의 역설이란?  (0) 2023.02.07
소비의 역설이란?  (0) 2023.02.07
n잡러란? 엔잡러  (0) 2023.02.06
포괄적 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 협정 CPTPP란?  (0) 2023.02.05
정크본드란? Junk Bond  (0) 2023.02.0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