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절약의 역설이란?

by 평사부 2023. 2. 7.
반응형

절약의 역설이란?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은 개인의 저축증가가 국가 전체의 저축 증가로 연결되지 않는 현상

 

경기침체 현상을 보일 때 가계와 기업, 정부는 소비를 늘리지 않고 저축을 늘어나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절약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으로 절약의 역설은 개개인의 저축증가가 국가 전체의 저축 증가로 이어지지 않는다고 말한다. 개인의 절약은 소비를 줄이고 미래를 대비하고 좋은 것이라고 할 수 있지만, 국가전체로 봤을 때는 투자가 줄어들고, 생산한 제품이 판매로 이어지지 않아 기업들은 생산을 줄이고, 생산을 줄이니 노동자를 뽑지 않아 고용은 줄어들어 결국엔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어 좋은 영향을 가지지 않는다. 간단하게 말해서 개인의 저축은 사회 전체적으로는 불황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반문할 수도 있다. 절약을 통해서 은행에 맡겨두면 기업에 대한 투자로 이어지고, 고용이 늘고, 기업의 투자설비나 투자로 이어질 수 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절약한 돈이 모두 투자로 이어지면 좋겠지만, 은행이나 주식을 사거나 부동산 등에 투자하는 사람들보다 채권이나 돈을 그대로 놔두는 경우, 금등에 투자하는 경우도 많고, 쓰지 않고 줄이는 절약의 경우에는 소비감소로 이어져 경제침체를 불러올 수 있다는 것이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외의존도란?해외 수출,수입량 의존도  (0) 2023.02.09
CEF란? Closed-End-Fund 폐쇄형 펀드란?  (0) 2023.02.08
소비의 역설이란?  (0) 2023.02.07
유동부채란? 비유동부채란?  (0) 2023.02.06
n잡러란? 엔잡러  (0) 2023.02.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