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역선택이란?

by 평사부 2022. 12. 15.
반응형

역선택이란?

역선택은 의사결정이나 위험관리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시장에는 저품질 상품이 많아지고 고품질 상품은 사라지는 문제를 말한다.

 

쉽게 말해 정보가 충분하지 않아 상품이나 서비스의 질을 모르니 비싼 고품질보다 저가인 저품질의 상품을 선택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보자 우리가 중고차를 사려고 중고차 매장에 갔다고 해보자.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사람은 많지만 정확히 어떤 부품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또는 자동차 가격을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침수차량인지, 사고차량인지, 아무 이상이 없는 차량인지도 일반인을 알아차리기가 쉽지 않다. 그래서 고품질의 고가 차량과 저품질의 저가 차량이 있다고 생각해보자. 그러면 고품질의 고가 차량보다는 저렴한 저품질의 차량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저가의 차량을 사람들이 많이 찾으니 잘 팔리지 않고, 이윤도 적은 고품질의 고가 차량보다는 저품질의 저가 차량을 판매하거나. 하자가 있는 차량을 속여서 판매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점점 저품질의 저가의 차량만 시장에 팔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는 보험, 휴대폰, 부동산 등등이 있다. 대부분 전문적이 분야이거나 상세한 정보를 알기 쉽지 않은 제품이나 서비스들이 많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깡통 전세란?  (1) 2022.12.21
포지티브규제란? positive  (0) 2022.12.17
독점과 과점 이해하기  (0) 2022.12.14
캐시카우란?  (0) 2022.12.12
사회간접자본 SOC란?  (0) 2022.12.11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