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독점과 과점 이해하기

by 평사부 2022. 12. 14.
반응형

독점이란?

독점은 오직 한 명의 사람이나 하나의 기업(단체)만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장형태

 

쉽게 말하면 어떤 시장을 특정 기업이 혼자 점유하고 있는 경우를 말한다. 경쟁상대가 전혀 없는 상태로 기업의 기술력이 매우 뛰어나거나 인프라 구축이 어렵거나 시장에 뛰어들기에는 너무 많은 자본이 필요한 경우 등에 독점 상태가 된다.

대표적으로 독점기업은 도시가스, 한국전력 등이다. 초기 사업이 시작될 때 엄청난 자본이 투입되기 때문이다. 도시가스나 한국전력의 경우에는 정부가 가격 인상을 크게 하지 못하도록 규제를 하기 때문에 독점에 대한 부작용이 없지만, 다른 서비스나 상품이 독점 상태가 된다면 큰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A라는 상품이 A회사 밖에 만들지 못하고, 꼭 필요한 제품이라면 가격을 마음대로 정할 수도 있고, 신생회사들을 자본으로 찍어 눌러 시장에 참여하지 못하게 만들어 버릴 수도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정부는 독점시장을 강력히 규제하려고 한다.

과점이란?

과점은 소수의 공급자가 시장을 장악하고 수요의 대부분을 공급하는 시장형태

 

독점과는 다르게 소수의 기업이 시장을 대부분 점유하고 있다면 과점이라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4개의 업체 이하로 있을 때 과점이라고 칭한다. 과점의 특징은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많은 자본이 필요할 때 과점 상태가 만들어진다. 통신, 정유 등의 매우 큰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 수 있는 사업들은 대부분 과점 상태이다. 통신사의 경우를 볼 때 한국의 경우 SKT, LG U+, KT로 3개의 통신사가 과점하고 있다. 실제로 대부분 과점시장은 3개의 업체가 대표적으로 있고 3사가 경쟁구도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과점 상태인 시장은 영화관, 스마트폰, 편의점, 정유, 인터넷 포털, 담배 등이 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지티브규제란? positive  (0) 2022.12.17
역선택이란?  (0) 2022.12.15
캐시카우란?  (0) 2022.12.12
사회간접자본 SOC란?  (0) 2022.12.11
풍선효과란? Ballooneffect  (0) 2022.12.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