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신종자본증권 신종자기자본증권이란? Hybrid Bonds

by 평사부 2023. 11. 4.
반응형

신종자본증권 신종 자기 자본증권이란? Hybrid Bonds

신종자본증권은 주식처럼 만기가 없으면서 채권처럼 매년 일정한 이자나 배당을 주는 금융상품을 말한다. 주식과 채권의 성격을 동시에 가졌다고 해서 하이브리드증권이라고도 부른다.

 

신종자본증권은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자본 안정성요건을 충족하여 금융감독당국이 은행의 기본 자본으로 인정하는 증권으로 일정한 수준의 이자를 지급하는 점에서는 채권과 유사하고, 만기와 상환의무가 없으며 매매가 가능한 점에서는 주식과 유사하다.

다시 말해서 만기가 긴(없는) 대신 수익률은 높다는 특징이 있다. 만기가 없어 은행 부채가 아닌 자기 자본으로 잡히기 때문에, 선진국에선 은행권의 자기 자본 확충 수단으로 각광을 받고 있지만 은행이 적자를 낼 경우 이자나 배당을 받지 못할 수 있고, 다음 해 큰 이익을 남겼다고 해서 받지 못한 전년도 배당을 받지는 못한다. 만기가 없는 채권이기 때문에 투자원금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증권을 다른 사람에게 판매해야 한다. 만기 20~30년 이상 장기채권은 거의 거래가 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매수한 뒤 장기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은행 입장에서는 유상증자보다 발행이 편하며 기본자본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청산 때 운리금 상환 부담이 없다는 이유 때문에 은행에서 선호되는 채권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