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셰일가스란?shale gas

by 평사부 2023. 11. 3.
반응형

셰일가스란? shale gas

셰일가스는 오랜 세월 동안 모래와 진흙이 쌓여 단단하게 굳은 탄화수소가 퇴적암(셰일) 층에 매장되어 있는 가스

 

쉽게 말해서 모래와 섞인 진흙 덩어리인 퇴적암(셰일) 틈새에 있는 천연가스나 원유를 말한다. 전통적인 가스전과는 다른 암반층으로부터 채취하기 때문에 비전통 천연가스로 불린다. 기술적 제약 때문에 오랫동안 채굴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2000년대 들어 수평정시추 등이 상용화되며 신에너지원으로 급부상하였다.

난방, 발전용으로 쓰이는 메탄 70~90%, 석유화학 원료인 에탄 5% LPG제조에 쓰이는 콘덴세이트 5~25%로 구성돼 있다. 유전이나 가스전에서 채굴하는 기존 가스와 화학적 성분이 동일해 난방용 연료나 석유화학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보통 천연가스는 셰일층에서 생성된 뒤 지표면으로 이동해 한 군데에 고여 있는 것이지만, 셰일가스는 가스가 투과하지 못하는 암석층에 막혀 이동하지 못한 채 셰일층에 갇혀 있는 가스다. 따라서 일반적 의미의 천연가스보다 훨씬 깊은 곳에 있으며, 암석의 미세한 틈새에 넓게 퍼져 잇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기존의 천연가스와 같은 수직시 추는 불가능하며, 수평시추를 통해서만 채굴할 수 있다. 

셰일 가스는 미국, 중국, 중동, 러시아 등 세계 31개국에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전 세계가 향후 60년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경제적, 기술적 제약으로 채취가 어려웠던 셰일가스는 2000년대 들어서면서 미국을 중심으로 시추가 상용화되면서 신에너지원으로 급부상했다.

2010년 북미 지역의 셰일가스 생산량을 2000년에 비해 15.3배나 늘어났으며, 미국은 2009년 이후 러시아를 제치고 천연가스 1위 생산국이 되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