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랩어카운트란?wrap account

by 평사부 2023. 11. 2.
반응형

랩어카운트란? wrap account

랩어카운트는 자산 관리사가 주식이나 채권 따위로 분산 투자 계획을 세워, 고객이 맡긴 돈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방식

 

증권사가 고객으로부터 권한을 위임받아 자산을 운용하는 계좌, 이와 관련된 자산 운용 서비스를 모든 것을 랩 서비스(wrap service)라고 한다. 랩 약정을 맺으면 해당 계좌에 랩을 씌운다고 하며 원래 어카운트라는 표현도 영어로 표기하면 Wrapped Account(랩이 씌워진 계좌)가 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포장하다'라는 뜻의 Wrap과 '계좌'라는 뜻의 Account(어카운트)의 합성어로 증권사 등이 고객의 자산규모와 투자성향 및 위험도를 파악하여 고객의 자산을 적당한 금융상품 등에 분산투자 해주고 수수료를 받는 것을 의미한다.

랩어카운트는 1975년 미국 후톤 증권이 처음 도입했지만 초반에는 주목을 받지 못하다가 1987년 주가가 폭락한 '블랙 먼데이'이후로 주식 매매가 줄고 사이버증권사로 대표되는 수수료 인하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수료 수입이 줄어들어 주식 매매회전율을 높여 매매수수료 수입을 늘리는 것보다 자산관리를 통한 안정된 수수료를 추구하게 되면서 랩어카운트라는 표현과 말이 많이 쓰이게 되었습니다.

한국의 경우에는 2001년 초 금융감독원이 자문형 랩어카운트의 판매를 승인하여 시행 중이다.

 

랩어카운트의 종류

운용 주체에 따라서 지점일임형, 본사직접형, 자문형으로 나뉘고 운용방식에 따라서 주식형, 자산배분형, 재투자형으로 나뉜다.

 

운용주체 기준

  • 지점일임형: 증권사 지점에 있는 직원이 직접 고객의 계좌를 일임하여 운영
  • 본사직접형:증권사 본사에 있는 운용역이 고객의 계좌를 운영
  • 자문형:증권사가 아닌 투자자문사 운용역이 고객의 계좌를 운영

투자 대상 기준

  • 주식형 : 주식형 펀드처럼 주식에 주로 투자하는 랩서비스
  • 자산배분형 :주식, 채권, 외환, 선물, 상품 등등 투자 대상의 비율과 현금의 비율을 유연하게 조절하는 전략을 취하는 랩 서비스(시장상황이 안 좋을 때 현금을 늘리고 , 시장상황이 좋을 때 투자비율을 높이는 전략)
  • 재간접형:주식 시장에 상장된 ETF 종목이나 펀드에 자산을 투자하는 랩 서비스
  • MMW형:한국증권금융이 운용하는 MMW(Money Market Wrap)에 투자하는 CMA, 일일정산 방식으로 운용되므로 일복리 혜택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특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