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업용 순자본비율 이란? NCR net capital ratio
영업용 순자본비율은 NCR(Net Capital Ratio)로 불리며 증권사의 재무 건전성을 파악하는 기준이 되는 지표로 영업용 순자본을 총 위험액으로 나눈 값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자기 자본에서 고정자산을 뺀 금액(영업용 순자본)을 총 위험액(시장위험액+기초위험액)으로 나는 것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 (100x영업용 순자본/총 위험액)
1997년 4월 도입된 증권회사의 자기 자본규제 제도로 은행의 BIS비율처럼 증권회사의 재무건전성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로 부담하고 있는 위험의 규모가 보유 중인 증권사의 유동성에 비춰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NCR이 높을수록 자본건전성이 양호하다는 뜻이다. 증권회사들은 항상 영업용 순자본을 총 위험액보다 크게 유지해야 하며 그 비율이 100%,120%,150%에 미달할 때마다 경영개선 권고, 요구, 명령의 적기시정조치가 이뤄진다.
1997년 외환우기 당시 증권회사의 파산 시 고객 및 이해관계자를 보호하기 위해 증권감독원은 NCR을 150% 이상 유지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영업에 수반되는 위험 손실을 감안한 현금화 가능자산이 상환의무가 있는 부채의 규모보다 항상 일정비율 이상 크도록 유지돼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BYOD족이란? Bring Your Own Device (0) | 2023.11.05 |
---|---|
헤리티지 마케팅이란? heritage marketing (0) | 2023.11.05 |
신종자본증권 신종자기자본증권이란? Hybrid Bonds (1) | 2023.11.04 |
셰일가스란?shale gas (0) | 2023.11.03 |
징벌적 감자란? (0) | 2023.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