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뱅크런이란?

by 평사부 2022. 4. 8.
반응형

예금자들이 은행에서 돈을 빼기 위해 몰려드는 뱅크런 뜻과 뱅크런 영향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뱅크런이란?

뱅크런(Bank Run)은 은행에 돈을 맡겨 두었던 예금자들이 몰려서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를 뜻한다.

 

돈을 맡긴 은행이 문제가 생겨서 파산이나 부도가 일어날지 몰라서 예금자들이 서로 먼저 돈을 찾기 위해서 은행으로 뛰어가는 모습을 보고 은행을 뜻하는 영어 Bank와 달린다를 뜻하는 영어 Run을 합쳐서 Bankrun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뱅크런이라고 해서 제1금융권인 은행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이 아닙니다. 제2금융권인 신협, 농협,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등에서도 일어날 수 있고 증권사, 보험사 등의 모든 금융회사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뱅크런이 일어나는 이유와 영향

  • 은행의 재정상태가 부실해질 때 발생한다.
  • 예금자들의 정보 부족으로 소문에 의해 발생한다.

일반적으로는 은행의 재정상태가 부실해져서 예금자들이 은행이 파산할 것을 예상하고 예금을 찾기 위해서 은행으로 몰리면서 뱅크런이 생기는 경우가 많지만, 정보 부족 즉, 소문에 의해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은행의 사정을 정확히 알 수 없는 예금자들 입장에서 은행의 재정상태가 나쁘다는 뉴스 기사나 소문과 약간의 우려 섞인 예측만 되어도 예금자들이 돈을 찾기 위해서 은행으로 몰려들어 뱅크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실 은행에 돈을 맡기는 예금자들은 대부분 위험자산보다는 안전한 은행에 맡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조금만 안 좋은 뉴스나 소문, 선전지가 나와도 과민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뱅크런의 영향으로 은행 재정상태가 좋다고 해도 파산할 수 있다.

예금자들이 예금을 찾기 위해서 한 번에 은행이 몰려들어서 돈을 빼게 되면 재정상태가 좋은 은행이라고 할지라도 파산 위험이 커집니다. 은행은 항상 예금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지급준비율만큼의 돈만 남겨두고 대출, 투자 등의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갑자기 은행 예금의 돈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게 되면 주식이나 채권 등을 팔아서 예금자들에 지급해야 합니다. 하지만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일정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당장 예금자들이 몰려와 지급할 돈이 없다면 은행은 파산할 수 있습니다.

지급준비율이란?(지준율이란?)

 

지급준비율이란?(지준율이란?)

금리와 마찬가지로 시장 통화량을 조절할 수 있는 지급준비율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지급준비율(지준율)이란? 지급준비율은 은행이 전체 예금 중, 일정 비율 이상 현금으로 가지고 있어야 하는

normal-humanrich.tistory.com

뱅크런 실제 사례

  • 니커보커 신탁회사 (Knickerbocker Trust)

뉴욕에서 3번째로 큰 신탁회사인 니커보커는 구리에 투자하다가 실패하자 다른 은행들이 니커보커의 수표를 받지 않기로 하면서 니커보커의 예금자들이 돈을 찾기 위해 몰려들면서 뱅크런이 발생했다.

  • 노던 록(Nothern Rock)

주택담보대출의 자금을 조달하기 힘들던 노던록은 단기 금융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해왔는데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해 주택 가격이 무너지면서 단기 금융시장에서 빌려온 자금의 이자들을 갚기 힘들어지면서 위기를 맞아 이런 상황을 알게 된 예금자들이 노던 록에 맡긴 돈을 찾기 위해서 몰려와 뱅크런이 발생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산분리란?  (0) 2022.04.10
메기효과란? 경쟁을 위한 적절한 자극  (0) 2022.04.09
랜덤워크 이론이란?  (0) 2022.04.07
이행채란?  (0) 2022.04.06
지주회사란?  (0) 2022.04.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