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주식 물타기란? 물타기의 위험성

by 평사부 2021. 8. 18.
반응형

주식투자에서 물타기의 뜻과 위험성 및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주식 물타기란?

주식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하여 손해를 보고 있을 때 저가에 매수해 평균 매입단가를 낮추는 것

쉽게 말해 주가가 하락했을 때 오히려 추가 매수해서 평균 매입단가를 낮춰서 손해를 줄이거나 이후 주가 상승을 기대하는 것입니다. 소주에 물을 계속 타면 도수가 낮아집니다. 이를 주식에 비유해 물을 탄다, 물타기 등등으로 표현합니다.

 

주의점 및 위험성

주가가 항상 오르기만 한다면 아무 걱정이 없겠지만 우리는 미래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주가가 오를지 내릴지 1초 뒤의 미래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게 사실입니다. 주가가 하락해서 물 타기를 해 평균 매입단가를 낮춰 후에 주가가 상승해서 물타기가 성공적으로 된다면 아무 문제가 없지만, 후에 주가가 더욱 하락해서 손해가 더욱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주식에서 물타기는 기업에 대한 확고한 믿음이 있거나 호재 등등이 있을 경우에만 해야 합니다. 바닥이라고 생각했던 주가가 더욱더 내려가 바닥이 아닌 지하를 뚫고 내려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또한 물타기를 할 때 다른 종목의 주식을 팔고 떨어지고 있는 주식을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때 정말 주의해야 합니다. 사실 떨어지는 주식을 매도하고 오르는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좋은 선택이 될 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기업에 아무런 나쁜 소식이 없는데 시장 분위기 시장 상황에 따라서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물타기를 해볼 만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지 시장 상황에 따라서 주가가 떨어진 경우라면 시장 상황이 좋아지거나 호재가 나올 경우에 다시 회복 혹은 그 이상으로 오르기 쉽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시장 상황은 좋은데 악재가 나와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에는 물타기를 하지 않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가짜 뉴스와 진짜 뉴스를 구분하셔야 합니다. 가짜 뉴스로 인해 주가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가짜 뉴스에 의해 주가가 떨어진다면 물타기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가짜 뉴스와 진짜 뉴스를 구분하는 것은 개인의 판단입니다. 가짜 뉴스인지 진짜 뉴스인지 단기적인 악재인지 장기적인 악재인지 여러 가지 생각을 해보고 물 타기 하셔야 합니다. 또한 물타기가 아닌 그냥 홀딩하는 것 자체가 훨씬 안전성은 높습니다. 물타기 하는 경우에 주가가 상승하면 크게 수익을 볼 수 있지만 더 주가가 떨어지게 되면 큰 손해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홀딩(존버)을 하게 되면 주가가 오르는 경우에 큰 수익을 볼 수 없지만 주가가 떨어지게 되면 물타기를 한경우를 비교했을 때보다는 손해가 적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