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PI(생산자 물가지수)의 뜻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PPI란?
PPI(Producer Price Index)는 생산자 물가지수로 생산자가 시장에 공급하는 상품의 가격 및 서비스의 요금을 경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에 따라서 종합적인 가격 수준을 지수 화한 통계
쉽게 말하면 생산자가 만들어 판매한 가격의 변동을 통계화한 것이다. 즉, 도소매업자가 판매한 가격의 변화를 나타내 주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도매시장, 제조 산업, 상품 시장에서의 가격 변화를 분위기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지표이다. 특정 물품의 생산자 물가지수가 상승하게 되면, 관련 산업들에게 영향을 주게 되고, 가격 변화에 따라서 소비자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PPI의 특징
- 소비자물가지수(CPI) 선행지표이다.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소비자물가지수(CPI)를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다. PPI가 상승하게 되면(도소매, 제조 가격 상승)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고, 소비자가 구매하는 가격이 올라 소비자물가지수도 자연스럽게 오르게 됩니다. 생산비용이 증가하면 기업은 증가한 비용을 소비자들에게 전과되고, 이는 소비자 물가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생산자물가지수를 추이를 지켜보면서 소비자물가지수를 예측할 수 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B 상품 지수란? (0) | 2022.03.20 |
---|---|
패시브 인컴이란? (0) | 2022.03.19 |
해외 기업이 미국증시에 상장하는방법 ADR(알리바바,TSMC등) (0) | 2022.03.17 |
스팩이란? 스팩상장,스팩주식이란? (0) | 2022.03.16 |
금리란? 금리와 증시,금리가 주가에 미치는영향 (0) | 2022.03.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