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스팩이란? 스팩상장,스팩주식이란?

by 평사부 2022. 3. 16.
반응형

기업 상장 방법 중 하나인 스펙 상장, 우회상장, SPAC, 스펙 주 등으로 불리는 스펙의 특징, 스펙 상장기업,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스펙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기업 상장 방법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IPO(기업공개) , 직상장 , SPAC(우회상장) 

기업공개 IPO란? 왜 하는 걸까? IPO 장점 단점 IPO순서

 

기업공개 IPO란 ? 왜 하는걸까? IPO장점 단점 IPO순서

기업공개(IPO)의 개념과 하는 이유와 장단점, IPO순서에 대해 알아봅시다.  IPO란? (기업공개) IPO (Initlal Public Offering)는 기업의 전반적인 경영내용을 공개하고 증권시장에서 공식적으로 주식거래가

normal-humanrich.tistory.com

IPO(기업공개)는 상장에 대한 심사를 통해서 신주(새로운 주식)를 발행해 상장하는 방법

직상장은 별도의 상장 심사와 신주 발행 없이 기존의 주식을 상장시키는 방법

스펙이란? SPAC?

스펙(SPAC)은 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의 줄임말로 한국어로는 기업인수목적회사라고 불립니다.

다른 법인과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투자자를 모집하는 주식을 발행하는 법인

 

정리해서 말하게 되면 다른 기업과의 인수합병을 통해서 해당 기업이 쉽게 상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회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로지 인수합병을 통한 우회상장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실체가 없이 서류상으로 존재하는 기업(페이퍼 컴퍼니)이다. SPAC회사는 기업공개(IPO)를 통해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주식시장에 상장한 후에 비상장 기업 중에서 유망한 기업을 합병하여 우회 상장하는 것이다. SPAC은 유효기간이 3년이다. 3년 안에 합병할 회사를 찾지 못하면 SPAC은 해산되고 주주들에게 SPAC회사의 자산을 돌려준다. 그래서 공모가(2000원)는 회수 가능하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스펙 기업 A , 비상장 튼튼한 기업 B 이 있다고 해봅시다.

튼튼한 기업인 B는 회사 규모와 영업규모를 키우기 위해 자금이 필요해 주식시장에 상장을 준비 중입니다. 

하지만 IPO(기업공개)를 통해서 상장을 하게 되면 시간이 오래 걸리고, 심사절차도 까다롭기 때문에 고민 중에 있습니다.

스펙 기업 A는 SPAC 전용 회사를 설립해 증시에 상장해서 합병할 기업을 찾고 있습니다.

이 기업 A와 B는 A가 B회사를 인수합병을 통해서 IPO가 아닌 우회상장(스펙 상장, SPAC)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SPAC 상장 절차

스펙 목적 기업 설립 -> 기업공개를 통한 상장 및 투자자 유치 -> 합병 대상 기업 발굴 -> 인수합병 추진 

 

인수합병에 성공하게 되면 껍데기는 SPAC기업이지만 속은 합병한 기업으로 차있고 합병한 기업의 시장가치를 투자자에게 평가받게 되어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수합병에 실패하게 되면 SPAC회사는 없어지게 되며 회사의 자산을 주주들에게 돌려주게 됩니다. SPAC의 공모가 2000원을 돌려주는 것입니다.

SPAC 상장 이유

기업들이 스펙을 통해서 상장하는 이유는 편리함과 시간 때문이다.

 

일반적이고 새로운 기업이 상장하기 위한 IPO(기업공개)를 통한 상장은 절차가 까다롭기도 하지만 기간이 오래 걸린다.

기업은 사업을 하면 할수록, 더 크게 사업을 할수록 더 많은 돈을 벌려고 할수록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하게 되어 자금조달을 위해 상장을 하게 됩니다. 상장이 오래 걸리면 자금조달이 어려워지고, 복잡하고 실패하게 될 경우 자금 조달하는 기간이 길어지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SPAC기업을 통해서 쉽고, 빠르게 우회 상장하는 것입니다.

SPAC 투자란? SPAC 투자 특징

SPAC 투자는 스펙 기업의 주식을 사거나 공모를 통해서 투자하는 방법

SPAC 투자의 특징

  • 투자 안정성

SPAC 투자를 할 경우에 공모를 통해서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인수합병이 될 경우에는 주가가 크게 오르는 경우가 많고, 인수합병에 실패할 경우에는 공모가는 보호되기 때문에 손실에 대한 위험성이 낮습니다.

  • 유동성이 적다.

최대 3년 동안 인수합병이 되지 않으면 스펙은 해산된다. 그래서 3년간 투자금이 묶이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스펙 주들은 거래량이 너무 적어 원하는 가격, 원하는 날에 팔지 못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3년간 매도하지 않는 생각으로 공모하는 경우가 많다.

  • 주가가 공모가 밑으로 하락하는 경우도 있다.

인수합병에 실패할 것 같은 뉴스나 소식이 나오게 되거나 인수합병에 성공하지 못할 거 같으면 공모가(2000원) 이하로 내려가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은행에 예금을 하는 생각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많다.

 

스펙 상장 사례

버진 갤럭틱 , 니콜라, 루시드 모터스 등등의 해외기업, 큐브엔터테인먼트, 한일진공 기계, 화신정공 등의 한국기업도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