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OTT 서비스란?

by 평사부 2022. 3. 28.
반응형

OTT 뜻과 OTT 서비스 업체들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OTT란?

OTT(Over The Top)은 직역하면 '셋톱박스(Top)를 넘는다'라는 뜻으로 하나의 플랫폼(Top)에 국한되지 않고 PC, 스마트폰, 콘솔 게임기, 태블릿 등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한다는 의미입니다.

 

하나의 콘텐츠를 다양한 플랫폼에서 시청할 수 있는 실시간 방송과 VOD를 포함한 다양한 방송서비스를 의미하며, 최근 IT기술과 스마트 디바이스가 발전하면서 서로 쉽게 정보를 공유하고 연동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넷플릭스, 쿠팡 플레이, Apple TV, 디즈니 플러스, 아마존닷컴 등의 OTT 서비스 어 베들이 생겨나고 있다.

과거에는 TV에서 공중파 방송만 나오다가 기술발전에 따라서 셋톱박스를 설치하면 드라마, 케이블 TV, 영화 등을 다시 보거나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이때 나온 것이 IPTV, 스카이라이프 등이 셋톱박스를 설치하면 사용할 수 있던 방식에서 셋톱박스를 넘어서 OTT 서비스를 넷플릭스에서 시작하면서 사업성이 확인되고, 성공에 따라서 여러 업체들 아마존, 애플, 쿠팡, 카카오 등에서 OTT 서비스를 내놓고 있습니다.

또한, OTT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구독 경제가 활성화되었습니다. 다른 스트리밍 서비스(멜론, 지니, 벅스 등)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나, 유튜브 등에서 사용되던 월정액제, 구독의 시스템을 빌려와 OTT 서비스에서 월 결제, 구독 서비스를 통해서 새로운 결제방식으로 거의 모든 산업에서 구독 경제로 열풍을 이끌고 있습니다. 특히 코로나 19의 여파로 재택근무와 집 밖의 활동이 줄어들면서 OTT 사업의 성장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코로나19 이전의 OTT 서비스 결제가 전 세계적으로 40% 이상 늘어났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대표적인 OTT 플랫폼 기업

  • 넷플릭스, 프라임 비디오(아마존), 디즈니+(디즈니), Apple TV+(Apple), wavve, TVing, 쿠팡 플레이어(쿠팡), 왓챠, 카카오TV(카카오), 네이버 TV(네이버) 등등

이외에도 전 세계적으로 많은 OTT 플랫폼 기업들이 많아졌고 대부분의 기업들이 처음부터 OTT 기반의 사업보다는 사업을 확장을 통해서 OTT 서비스를 같이하는 경우가 많으며, 월구 독, 정기 월 결제를 이용하면 기업의 다른 서비스들을 함께 사용하게 되면서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탈률이 적어 충성고객들이 많으며, 또한 많은 OTT 서비스가 생겨나면서 각 기업마다 독자적인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서 여러 곳을 동시에 결제하는 소비자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