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흑자부도란?

by 평사부 2022. 4. 5.
반응형

뉴스 기사를 읽거나 경제 관련 이야기를 할 때 가끔 등장하는 흑자부도, 기업이 돈을 버는데도 부도 하는 상황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흑자부도란?

흑자부도는 장부상으로는 이익을 나고 있는데 현금이 없어서 채무를 이행할 수 없어 부도가 나는 경우를 말하며, 쉽게 말해 기업은 돈을 벌고 있지만 기업이 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흑자부도 혹은 흑자도산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흑자' 기업이 순마진, 이익이 발생하는데 부도라니 말도 안 되는 이야기 같지만 기업의 구조를 알게 되면 이해가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감자과자를 10억 치를 파는 회사가 있다고 생각해봅시다. 감자과자를 만들기 위해서는 기름, 감자, 포장지 등의 여러 가지 비용 및 재료가 들어갑니다. 하지만 감자과자를 납품받는 회사가 결제를 미룬다고 생각해봅시다.

그러면 감자과자를 만들기 위해서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데 납품받는 회사가 결제를 미뤄서 감자과자를 만들지 못하고, 판매하지 못하여 부도를 맞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벌어들인 돈을 모두 부동산이나 여러 자산에 투자를 했다고 생각해봅시다. 부동산이나 자산들이 팔려서 감자과자를 만들 때 사용되는 재료비, 생산비 등을 지급하면 아무런 문제가 없지만 부동산이 팔리지 않아서 현금이 없어서 비용을 지급 못하게 되면 부도를 맞이할 수도 있습니다.

 

쉽게 정리하면 기업에서 보유해둔 현금이 없거나,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이 많아 원자재비, 생산비등의 대금을 지불하지 못하는 경우에 부도가 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는 생각보다 흔하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납품받는 회사의 재정이 어려워 대금을 지불 못할 수도 있고, 대금을 현금이 아닌 어음이나 다른 자산으로 지불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원자재 비용을 지급을 미루면 되지 않나?'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이는 회사의 신용을 떨어뜨릴 수도 있고, 대금지급이 늦어지면 똑같이 원자재 기업도 자금사정이 어려워져서 부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행채란?  (0) 2022.04.06
지주회사란?  (0) 2022.04.06
파레토 법칙이란?  (0) 2022.04.05
부머쇼퍼란?  (0) 2022.04.04
발행어음이란?  (0) 2022.04.0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