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프로토콜 경제란 무엇인가?

by 평사부 2022. 2. 27.
반응형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서 탈중앙화를 통해서 여러 경 제주체를 연결하는 경제모델로, 현재 대세인 플랫폼 경제의 대안으로 제시되는 프로토콜 경제의 개념과 정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프로토콜 경제란?

프로토콜 경제(Protocol Economy)는 탈중앙화, 탈독점화를 통해 여러 경제 주체를 연결하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 모델

 

기차역(플랫폼)이 수많은 사람과 물건이 오가는 도시의 인프라인 것처럼 상품 및 서비스 거래나 정보교환 등이 이뤄지는 곳을 플랫폼이라고 부릅니다. 플랫폼 기업으로 유명한 것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페이스북, 카카오, 네이버 등등이 있습니다.

플랫폼(Platform)이란? 플랫폼 기업, 플랫폼 비즈니스

 

플랫폼(Platform)이란? 플랫폼기업,플랫폼비즈니스

플랫폼(Platform)의 뜻과 유형, 실제 사례 등을 알아봅시다. 플랫폼(Platform)이란? 플랫폼은 plat (평평한) + form(형태) 두 단어가 합쳐져서 생긴 용어로 승강장, 정류장으로 표현하기도 하고 평평한 모

normal-humanrich.tistory.com

중요한 것은 플랫폼 기업들이 제품, 서비스의 생산, 공급을 담당하지 않고 상품, 서비스 등을 교환할 수 있는 플랫폼만 제공하는 형태로 거대한 인프라 혹은 소비자를 가지고 있는 플랫폼 기업들이 주도하는 경제로, 소비자들이 플랫폼을 통해서 제품을 구매하거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등 플랫폼을 거칠 때마다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에 플랫폼을 가지고 있는 거대기업들이 이익을 독점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플랫폼은 이용자(소비자)가 많아질수록 가치가 커지고, 사람들은 이용자가 많은 플랫폼을 선호하게 되면서 플랫폼 경제는 승자독식, 독점등의 문제를 낳는다는 지적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안으로 등장한 것이 프로토콜 경제입니다.

프로토콜 경제는 탈중앙화, 탈독점화를 추구해 독점적 비즈니스 환경과 그에 따르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프로토콜 경제는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해 수많은 컴퓨터와 동시에 복제 및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이 핵심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분산된 여러 상품과 서비스를 빠르고 안전하게 연결해 플랫폼에 모인 개체들이 합의를 한 뒤 일정한 규칙(프로토콜)을 만드는 등 소비자, 판매자 모두에게 공정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참여형 경제체계라고 할 수 있다. 

 

프로토콜 경제 사례

아직 초기 단계로 완벽한 성공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지만, 이용자를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을 계속해서 발전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 라주즈(La'zooz) 2014년 이스라엘에서 개발된 커뮤니티 소유의 분산형 교통 플랫폼으로 이더리움 기반 가상자산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자, 사용자, 후원자를 위한 공정한 공유 보상 메커니즘을 적용

차량을 이용하는 방식은 우버와 동일하지만 플랫폼 소유자가 회사가 아닌 플랫폼 참여자이고, 대입을 이용하기 때문에 카드 대신 가상자산으로 결제를 하기 때문에 결제 수수료는 '0원'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이야기하면 차량 대여 비용이 1만 원이라고 치면 플랫폼 기업(우버)이 수수료로 2000원을 가져간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판매자는 8천 원을 가지고 가지만 이용자가 지불하는 금액은 1만 원입니다. 하지만 라주즈를 이용하게 되면 가상화폐인 이더리움을 사용하게 되면서 플랫폼 기업에게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는 0원이 되고, 1만 원이 아닌 9천 원 혹은 8천 원에 똑같은 차량 대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오리진 프로토콜(Origin Protocol) 블록체인 기반 p2p 마켓플레이스를 운영하고 상품권 거래, 숙박 공유, 의류 직거래 등이 가능한 무료 온라인 스토어를 제공하는 플랫폼, 중개인 없는 공유경제를 목표로 하는 탈중앙화 p2p 마켓플레이스

보상과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오리진 토큰'이라는 유틸리티 토큰을 이용하며 불법 행위 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무료로 오픈소스 코드를 제공함으로써 개발자가 없어도 되며, 홍보, 거래 등을 통해서 참여자도 지분을 소유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