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탄소 배출 범위를 나타내는 스코프 1,2,3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스코프(Scope)란?
기업의 탄소 배출은 성격과 측정 범위에 따라서 스코프 1,2,3으로 구분된다.
- 스코프 1(Scope1):제품 생산 단계 중 시설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
- 스코프 2(Scope2):에너지, 열, 증기 등을 만들기 위해 발생하는 탄소배출
- 스코프 3(Scope 3):기업의 가치사슬(Value Chain), 공급사가 재료와 부품을 만드는데 배출되는 탄소와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탄소배출을 모두 포함
밸류체인(Value Chain)이란? 가치사슬이란?
경제기사나 뉴스를 보게 되면 자주 접하게 되는 밸류체인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밸류체인(Value Chain)이란? 가치사슬이란? 밸류체인(Value Chain)은 가치사슬이라는 의미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normal-humanrich.tistory.com
과거에는 스코프 1에만 즉, 제품 생산 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만을 초점을 맞추었으나 RE100 모든 전력을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겠다는 약속이 시작되면서 탄소배출량을 스코프 3까지 확대해서 협력 업체에도 준수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다.
애플의 경우에는 2030년까지 스코프 3의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했으며, SK이노베이션의 경우에도 스코프 1,2,3을 모두 포함하는 탄소배출량 감소를 선언하며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탄소 배출 규제가 스코프 3까지 확대되면서 이산화탄소 포집, 활용, 저장 산업은 물론이고 폐기, 재활용 등의 산업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스코프 3의 탄소배출량 감축의 도전과제
- 가치사슬(Value Chain)의 전반의 탄소배출과 감축량을 관리할 시스템, 플랫폼이 필요하다.
기업 전반에 걸쳐서 제품 생산, 관리, 판매, 운반, 소비 등등에서 발생되는 탄소량을 측정하고 관리할 플랫폼 즉, 시스템이 필요하다.
- 탄소배출 데이터와 표준과 각 공급사와 파트너사의 투명한 정보공유가 필요하다.
기업의 가치사슬에서 모든 탄소배출량을 공급사와 파트너들의 투명한 데이터 정보공유가 필연적이다. 또한 이 데이터들을 표준화시켜서 정확한 기준을 세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
- 기술적, 경제적 문제
아직까지 탄소배출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기술적인 문제와 경제적 인문제가 극복되어야 한다, 탄소배출량을 줄이더라도 경제적인 문제로 인해서 소비자가 비용적인 문제를 부담해야 하거나, 기술적인 문제로 탄소배출량을 줄이지 못하는 제품이 있다는 것이 문제이다.
예를 들어 그린 플레이션 , 즉 탄소중립에 따라서 원자재 가격이 상승해 인플레이션과 비슷한 경제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린플레이션이란?(탄소중립의 역설)
탄소중립의 치명적 단점이라고 불리는 그린 인플레이션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그린 플레이션이란? 그린 플레이션(greenflation)은 친환경을 뜻하는 '그린(Green)'과 물가상승을 뜻하는 '인플레이션(In
normal-humanrich.tistory.com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진콜(Margin call)이란? (0) | 2022.03.09 |
---|---|
미국주식 구글 GOOGL과 GOOG의 차이 알파벳a와 알파벳c 차이 (0) | 2022.03.08 |
주식용어 숏 커버링이란? (0) | 2022.03.06 |
RE100이란? (0) | 2022.03.06 |
태그얼롱이란? 드래그얼롱이란? (0) | 2022.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