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대외의존도란? 해외 수출, 수입량 의존도
대외 의존도는 총공급이나 총수요 중에서 수출과 수입등 대외(해외)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경제뉴스나 경제 관련 지식이나 한국의 경제 뉴스를 볼 때 자주 접하게 되는 내용 중 하나가 대외의존도이다. 예를 들어서 한국은 대외의존도가 높아서 달러환율에 민감하다.라는 기사를 보거나 대외의존도가 높은 한국은 다른 국가보다 관세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등의 내용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대외의존도는 어느 국가의 해외와의 거래량이 경제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알 수 있는 지표이다.
대외의존도 계산공식
- 대외의존도 = [(수출+수입)/총공급 = 총수요] x100
대외의존도의 영향
- 대외의존도가 높다는 것은 국제 경제에 국내경제가 영향을 많이 받는다.
- 대외의존도가 낮다는 것은 국제 경제에 국내경제가 영향을 덜 받는다.
대외의존도가 높다는것은 수출 또는 수입이 해외에 많이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에 환율문제나 국제 경제 상황에 따라서 국내 경제에 영향을 함께 준다는 것이다. 해외에서 원자재를 구입해서 완성품을 만들어 다시 외국에 팔거나 국내에 파는 것을 많이 하는 나라는 당연히 환율이 오르면 원자재 가격이 올라서 원가가 올라가게 되면서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서 해외에서 가격 경쟁력을 잃는 등 많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또한, 현재는 세계화에 따라서 대외의존도의 영향이 적은 나라는 적은 것이 사실이지만, 반대로 대외의존도가 낮다면 국내생산하는 제품을 국내에서 소비하고, 해외에서 원자재등 다른 것을 사 오는 것이 적은 나라라면 당연히 국제경제에 영향을 덜 받게 되는 것이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국의 국제경쟁력을 보호가위한 보호무역주의란? (0) | 2023.02.10 |
---|---|
대체재란? 보완재란? (0) | 2023.02.09 |
CEF란? Closed-End-Fund 폐쇄형 펀드란? (0) | 2023.02.08 |
절약의 역설이란? (0) | 2023.02.07 |
소비의 역설이란? (0) | 2023.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