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적금 1일에 납입하고 이자 더 받자.

by 평사부 2022. 3. 5.
반응형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은행 예적, 적금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적금은 달 마지막 날에 입금하는 것과 달 첫날인 1일에 입금하는 경우에 이자가 다른 이유와 차이를 알아보겠습니다.

적금 1일 납입 vs 28일 납입 시 만기 때 이자차이

적금에는 종류가 정기적금과 자유적금 두 가지가 있다.

납입일이 지정된 정기적금의 경우에는 적금 납입을 1일로 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 하지만 가입일과 무관하게 한 달 내에 납입하면 되는 자유적금의 경우에는 납입을 1일 날 하는 것이 적금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다.

 

두 사람이 적금을 가입한다고 해보자 2월 28일 날 가입해서 28일 돈을 입금하는 A와 1일 돈을 입금하는 B가 있다고 해 보자.

*청년희망적금이 관심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에 이자율을 연 5%로 설정

*매월 50만 원의 금액을 입금한다고 가정

1일납입과 28일 납입하는 경우를 비교한 엑셀
28일 납입과 1일납입의 이자차이

보는 바와 같이 28일 날 납 금하게 되면 약 62만 원의 이자, 1일 날 납입하게 되면 약 66만 원의 이자를 받게 되어 약 4만 원의 차이를 보인다.

가입일이 늦을수록 1일 날 입금하게 되면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 똑같은 금액을 입금한다면 1일 날 입금하는 것이 조금이라도 이자를 더 받을 수 있는 방법이 다.

왜 1일 날 입금하게 되면 더 많은 이자를 받게 될까?

KB국민은행 청년희망적금 만기이자 계산방법
출처:KB은행

국민은행의 청년희망적금 상품설명서에 나와있는 만기이자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입금 금액 * 약정일 수 * 일수 /365

최대한 자세하게 설명하게 되면 1년 만기짜리 2월 28일에 적금을 가입하게 되면  가입일에 50만 원을 넣고 3월 1일에 50만 원, 4월 1일에 50만 원... 계속 넣는다고 하면 첫 가입일에 입금한 금액은 365일 동안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이니까 모든 이자를 지급하게 되고 3월 1일 날 입금하게 되면 364일(365-1)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된다. 하지만 28일에 입금하게 된다면 가입한 달은 똑같이 365일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되고   3월 28일에 입금한 금액은 337일(365-28)에 대한 이자를 받게 되어 차이가 나게 된다. 이러한 차이가 점점 벌어져 크게 차이가 나게 되는 것이다.

 

정리

  • 자유적금의 경우에는 가능하다면 1일 날 돈을 입금하는 것이 이자가 높다.
  • 정기적금의 경우에는 상관없다.
  • 가입일이 달 마지막일수록 더욱 이자 차이가 난다.
  • 똑같은 돈을 입금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유적금은 무조건 1일 날 입금해야 한다.

2022년 2월 21일 청년희망 적금 연 9% 금리와 비슷

 

2022년 2월 21일 청년희망 적금 연 9% 금리와 비슷

2022년 2월 21일 시작되는 청년희망 적금의 신청방법과 자격요건, 가입기간 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청년희망적금 종류 : 자유적금 출시일 : 2022.02.21 가입대상 : 만 19세 ~ 34세 / 병역이행 기간 (최

normal-humanrich.tistory.com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100이란?  (0) 2022.03.06
태그얼롱이란? 드래그얼롱이란?  (0) 2022.03.06
테크래시란?  (0) 2022.03.05
그린플레이션이란?(탄소중립의 역설)  (0) 2022.03.04
탄소국경세란? 무엇인가  (0) 2022.03.03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