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플레이션의 뜻과 원인 및 종류 그리고 영향 , 대비책, 스태그플레이션 등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inflation)은 물가(재화, 용역 가격 등)가 지속적인 상승을 하는 경우
경기가 좋을 때(경기 호황)는 인플레이션, 경기가 나쁠 때(경기불황)는 디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높지만 항상 경기가 좋다고 항상 인플레이션이 오고 불황이라고 해서 항상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아니다.
인플레이션이라는 말은 미국 남북전쟁 때 불환 지폐(나라의 화폐제도의 기초가 되는 본위 화폐와의 교환이 보증되어있지 않은 화폐)를 남발해 유래되었다. 즉, 금 또는 은 등의 화폐를 국가에서 지폐와 같은 가치를 가진다고 국가에서 보증해주고 지폐를 만들었는데 이를 보증하지 않는 지폐를 계속해서 만들어냈다. 당시 전쟁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서 조세징수, 공채 모집을 하기 힘들어 불환 지폐(green back=녹비 지폐)를 마구마구 발행해 전쟁비용을 조달했다. 이로 인해서 통화가 사회의 수요와는 관계없이 만들어져서 상태가 공기를 봉지에 불어넣어 이를 팽창시킨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인플레이션(inflation)이라는 이름이 붙게 되었다.
인플레이션 원인 및 종류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원인에 따라서 이름을 다르게 부른다.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수요가 많아지면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가계소비, 투자, 정부의 지출, 수출이 늘어나게 되면 수요가 커진다. 또한 통화량이 늘어나도 수요가 증가한다. 통화량이 늘어나게 되면 기준금리를 낮추게 되고 금리가 낮아지게 되면 은행에 돈을 맡기는 사람보다는 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가 많아지게 되고 여러 내구재 소비를 할부로 구입하는 경우나 대출을 받는 경우가 늘어나 수요가 늘어나게 된다.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원자재 등의 비용이 상승해 총공급량을 감소시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수요는 변하지 않은 상황에서 원재 등의 비용이 상승하면 기업들의 생산량의 감소로 이어져 총공급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총공급량이 감소해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이 발생하게 된다. 원유를 예를 들어서 설명하면 국제 원유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원유를 이용해서 각종 석유 에너지 및 다양한 석유화학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는데 원유 가격이 상승하면 대다수의 기업들은 원이 가격이 상승한 만큼 제품의 가격을 인상시켜 판매한다. 이로 인해서 수요가 줄어들고 생산을 감소시킨다.
이처럼 생산 감소와 물가 상승이 함께 발생하는 것을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이라 부른다.
- 스태그플레이션 :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를 뜻하는 stagnation(스태그네이션)과 inflation(인플레이션)의 합성어이다.
임금 상승과 노사분규 등의 이유로 생산비용이 증가하면 물가가 상승하는 것도 비용 상승 인플레이션으로 볼 수 있으나 임금인상이 항상 인플레이션을 발생시키는 것은 아니다. 만약 임금이 인상되었다고 하더라도 생산성도 함께 증가해 생산량이 오히려 더 많이 상승한다면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즉 생산 감소와 물가 상승이 함께 발생하는 경우에는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따로 부른다.
인플레이션의 기본적인 원인은 통화량의 증가이다. 장기적으로 물가가 상승하려면 총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거나 총공급이 지속적으로 감소해야 한다. 하지만 정부지출이나 가계소비, 기업투자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기는 힘들다. 생산비의 상승이 장기간 지속되는 것도 어렵기 때문에 장기적 인플레이션을 설명하기는 힘들다. 그러나 통화의 경우에는 중앙은행이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의 원인은 '통화'라고 한다.
이외에 인플레이션이 극심한 경우 초인플레이션, 통화(지폐)의 증가로 인해 생기는 경우 지폐 인플레이션, 과도한 대출로 인해 생기는 경우 신용인 플레이션 수입품의 가격의 폭등으로 인해 국내 물가도 상승하는 경우 환 인플레이션 수요가 급격히 상승해서 생기는 경우 수요 인플레이션 등 많은 인플레이션이 있지만 크게는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그리고 특이한 스태그플레이션 정도만 알고 있어도 상관없다.
인플레이션의 영향 및 문제점
- 극심한 빈부격차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 땅, 건물, 재고 상품 같은 실물의 가치는 물가와 함께 상승하지만 화폐의 가치는 하락한다. 실물을 가지고 있지 않은 서민들이나 월급을 받는 사람들은 화폐 가치 하락으로 실질적인 소득이 감소하게 되어 빈부격차가 심해진다.
- 투자보다는 투기 성향을 가진 투자자가 늘어남
사람들은 점점 열심히 일하고 저축해도 집이나 땅 들의 실물을 구입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고, 한 번에 큰돈을 벌어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가지게 된다. 그래서 정상적인 투자보다는 투기에 점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것이 심각해지면 사회에 전반적으로 근로의욕 저하, 건강한 투자를 감소시켜 정상적인 시장의 성장을 방해한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비트코인이나, 부동산 가격을 보면 충분히 이해가 될 것 같다.
- 국제수지의 악화
해외의 물건에 비해 상대적으로 우리나라(자국)의 상품의 가격이 비싸지기 때문에 비교적 싼 수입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진다. 반면에 국내 물가의 상승은 수출품의 가격 상승으로 이어져 외국 소비자의 수요가 감소해 수출이 줄어들게 된다. 결국 수출은 감소하고 수입은 증가해 국제 수지 악화로 이어진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컨센서스란 무엇인가? (0) | 2021.08.01 |
---|---|
디플레이션이란? 좋은 디플레이션 , 나쁜 디플레이션 , 끔직한 디플레이션 (0) | 2021.07.29 |
기관투자자는 누구인가? 기관투자자 종류와 특징 (0) | 2021.07.23 |
어닝 서프라이즈란?,어닝쇼크란? (0) | 2021.07.21 |
외국인 투자자는 누구이고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있나요? (0) | 2021.07.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