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섀도 보팅의 개념,목적 대리투표와의 차이, 폐지된 이유?

by 평사부 2024. 2. 20.
반응형

포스팅에서는 섀도보팅의 개념과 목적 대리투표와의 차이 그리고 폐지된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쉐도우 보팅이란? 섀도 보팅 Shadow Voting 

쉐도우 보팅은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않은 주주들의 투표권을 행사하여 정족수 미달로 인해 주주총회가 무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섀도 보팅은 일반적인 투표방식과는 다른 개념으로 일반적인 투표에서는 특정한 주체가 직접 투표를 하지만, 섀도 보팅에서는 대리인이 다수의 의견을 대표하여 투표하는 방식입니다. 대리인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경우에 쓰이거나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않는 주주들의 투표권을 행사하여 참여자가 적어 부결되는 경우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투표방식입니다.

주주총회의 불성립 등을 방지하기 위해 1991년도에 도입된 제도이지만 실제로는 소수 경영진이나 대주주의 경영권 강화수단으로 악용되는 사례가 많아 '주주 우선 경영원칙'에 위배된다는 비판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리투표와 섀도보팅의 차이

섀도 보팅과 대리투표는 비슷한 개념으로 보일 수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대리투표의 경우는 한 명의 대리인이 여러 사람을 대신하여 투표하는 방식이며, 대리인은 사전에 정해진 권한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섀도 보팅은 다수의 대리인이 각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투표하는 방식으로 다릅니다.

 

섀도 보팅은 폐지되었다. 섀도 보팅의 단점

섀도 보팅은 공정성과 투명성을 보장하기 위한 시도였지만 몇 가지 문제점으로 인해 폐지되었습니다.

 

  • 대리인이 다수의 의견을 대표할 때 생길 수 있는 편향성 
  • 복잡한 절차와 시간이 필요하다.
  • 대주주의 경영권 강화수단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목적을 위해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단점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2017년에 폐지되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