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보통주와 우선주의개념과 차이점

by 평사부 2021. 6. 19.
반응형

보통주란? 우선주란? 보통주와 우선주에 대해서 말해보겠습니다.

 

 

보통주란? 우선주란?


주식은 종류에 따라 보통주와 우선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보통주는 주주총회에 참석해 기업의 주요 경영사항에 대해서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배당을 받는 등의 주주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는 주식을 말합니다.

우리가 거래하는 대부분의 주식은 보통주입니다. 그런 반면에 우선주는 기업경영에 참여할 수 없는 주식 , 즉 주주의 권리가 제한된 주식을 말합니다.

이렇게만 보면 보통주가 우선주보다 좋은 점이 없어 보이지만 우선주만의 특별한 권리가 있습니다. 바로 보통주보다 우선주가 배당을 많이 받습니다. 우선주의 경우에는 보통주보다 이익, 배당, 잔여재산 분배 등에 있어서 우선적인 지위가 인정되는 주식입니다. 주주로서의 권리 행상을 할 수 없는 대신 배당을 많이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왜 기업은 우선주를 발행할까? 우선주 발행 이유


기업을 운영하다 보면 자금이 필요한 경우가 많이 생깁니다. 생산시설을 증설하거나 마케팅 비용, 기술개발, 연구비 등등 많은 자금이 필요한데 자금조달을 위해 주식을 발행하거나 , 채권을 발행하거나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기업은 주식을 발행해서 자금조달 하는 경우가 많고 좋아합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지만 간단하게 살펴보면 채권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재무구조상 부채가 늘어나게 되고 은행에서 자금을 빌리는 경우는 절차가 복잡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자금조달을 위해서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보통주를 발행하게 되면 대주주의 지분이 낮아져 경영권을 위협받을 수도 있습니다.. 기업의 입장에서는 보통주를 발행하는 것보다는 우선주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하는 편이 경영권 위협 없이 자금을 조달할 수 있습니다.

 

우선주 종류


  • 구형 우선주 : 1996년 이전에 발행된 우선주 (ex) 현대차우
  • 신형 우선주 : 1996년 이후에 발행된 우선주 (ex) 현대차 2 우 B 한화 3 우 B )(종목명 뒤에 'B'가 붙은 우선주)
  • 전환 우선주 : 일정기간 이후에 보통주로 전환될 권리가 부여된 주식 (ex) CJ 4우(전환) 종목명 뒤에 '전환'

구형 우선주의 보통주보다 높은 배당을 보장해주는 반면에 신형 우선주의 경우에는 배당 자체를 보장해주는 채권의 성격을 가집니다.(B=Bond=채권) 꾸준히 배당을 주던 회사도 특수한 상황이 생기거나 적자가 나게 되면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데 신형우선주의 경우는 투자자에게 배당을 보장해주며, 그해에 배당을 지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음 해에 지급하지 못한 배당금을 합산해서 지급해야 합니다.

전환우선주는 일정기간이 지난 뒤에 보통주로 전환될 권리가 있는 주식입니다. 대부분의 경우에 우선주가 보통주보다 싼 가격에 거래되기 때문에 보통주로 전환할 경우에 높은 수익을 가져다 줄 수도 있습니다.

 

우선주 특징


우선 주는 발행할 때의 가격도 15% 정도 낮게 발행되며 보통주보다 일반적으로 30% 정도 싸게 거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비상식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주가가 급등하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보통주가 오르거나 내리면 비슷한 수준으로 오르거나 내리고, 일반적으로 좀 더 등락폭이 적습니다. 그래서 우선주 투자는 시세차익을 통한 이득보다는 배당을 중요시하는 투자자에게 적합한 주식입니다. 보통주보다 우선주의 주식이 급등하는 경우는 대게 특별한 상황이기도 하고 급 등한 후에 다시 원위치를 찾아가기 때문에 시세차익을 노리고 투자하기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