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딜버트의 법칙 Dilbert's principle

by 평사부 2023. 9. 24.
반응형

딜버트의 법칙 Dilbert's principle

딜버트의 법칙은 영리하고 열정적인 직원보다 무능력하고 비효율적인 직원이 조직에서 승진할 가능성이 높다는 역설적인 주장이다.

 

딜버트는 미국의 만화가 스콧 애덤스(Scott Adams)가 1989년부터 연재해 온 풍자만화의 제목이다.

이 만화의 주인공 딜버트는 착하고 똑똑한 엔지니어로 끊임없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지만 회사에서는 오히려 성가신 존재로 취급받는다.

딜버트의 법칙은 일반적인 통념과 달리 의욕적이고 모험적인 시도를 하는 직원보다 무능력하고 비효율적인 직원이 중간 경쟁 단계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승진한다는 열설적인 주장이다. 즉, 영리하고 열정적인 직원보다는 회사에 별다른 이익을 가져다주지 못하는 직원이 조직에서 성공할 가능성이 더 높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무능력한 직원들의 경우 그들의 실수가 회사에 타격을 입히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직의 이익에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현장 실무가 아닌 경영 관리 부문으로 배치되기 때문이며, 이러한 사람들은 실패로 인한 리스크가 없어 평가에 무난한 하게 통과하게 됨에 따라 오히려 승진에 더 유리하다고 보는 것이다.

 

딜버트 법칙의 핵심 원리

  • 무능력의 원칙

어느 조직에서나 일정 비율의 개인이 필연적으로 자신의 역할에서 무능함이 드러낸다고 가정한다. 모든 결정이 전문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오해가 우스꽝스러우면서도 실망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말한다.

  • 비효율성의 원칙

효율성은 기업 세계에서 탐내는 특성이지만, 효율성은 달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비효율성은 종종 프로세스에 스며들어 지연, 좌절, 기회 상실을 초래합니다.

  • 관료주의 원칙

관료주의는 관료주의와 복잡한 절차로 인해 딜버트 법칙의 또 다른 초석이 된다. 조직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취하는 터무니없는 방법을 말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