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골든 프라이스 전략이란? Golden Price (삼성전자,D램,테슬라)

by 평사부 2023. 9. 23.
반응형

골든 프라이스 전략이란? Golden Price

골든프라이스 전략은 높은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을 보유한 회사가 원가 이하로 공급가격을 낮추는 방법을 통해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는 전략이다.

 

골든프라이스 전략은 낮은 원가로 높은 생산성을 갖춘 회사가 낮은 가격에 판매해 경쟁업체를 없애는 전략으로 기업들은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싶을 때 골든 프라이스 전략을 이용합니다.

회사에게 평소 대비 이익률은 낮아질 수 있지만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서 경쟁회사는 기술력과 원가 경쟁력이 뒤처지기 때문에 적자를 내고, 도산하거나 파산하거나 시장점유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골든 프라이스 전략을 취하는 회사는 본인 회사는 이익을 낼 수 있지만 경쟁사들은 원가 수준이거나 적자를 내게끔 낮게 가격을 결정해 평소에 비해서 이익은 줄어들지만 시장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할 때 전략을 구사한다.

글로벌 시장에서 최근 반도체 가격이 떨어지고 있는 이면에는 삼성전자의 ' 골든 프라이스 전략'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D램은 it산업의 발전해 가면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삼성은 이러한 d램 생산에 있어서 우수한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원가 절감할 수 있는 기술력 또한 가지고 있다. 경쟁사들보다 제품의 가격을 대폭 낮추어서 판매를 실시함으로써 경쟁업체를 없애고 시장점유율을 높여 막대한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은 수익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품을 낮은 가격으로 판매하ㅔ 되면서 다른 기업들은 수익을 확보하지 못하며 경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적자가 이어지면 기업은 사업을 철수하거나 축소할 수밖에 없는 상태이며, 그에 따라 삼성은 시장 점유율을 더욱 늘어나고 독점적인 구도를 형성함으로써 수익을 향상할 수 있다.

 

비슷한 예로 전기차의 선두주자 테슬라가 있다. 테슬라가 가격을 낮추는 이유를 여러 가지 측면의 분석이 있지만 사는 사람이 가격에 부담스러워 구매자가 적어져서 가격을 낮춘다, 재고를 소진하기 위해서 가격을 낮춘다,라는 여러 평가가 있지만 이번엔 골드프라이스 전략의 초점에서 보자. 테슬라는 혁신적인 기술로 인해 원가절감을 통해서 이익을 낮추지만 전기차 시장점유율을 높여 전체 매출량을 늘려 이익을 높이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는 관점도 있다. 또한 FSD는 구독형태의 서비스이다. 자동차 점유율을 높이면서 FSD를 구입할 수 있는 잠재고객을 늘리는 전략이라고도 평가하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