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프레이밍 효과의 힘 :인식이 의사결정을 형성하는 방식

by 평사부 2023. 9. 25.
반응형

심리학과 행동경제학에서 주목받고 있는 흥미로운 현상 중 하나인 "프레이밍효과"입니다."프레임 의존성"이라고도 불리는 인지 편향은 정보가 제시되거나 구성되는 방식이 개인의 선택과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프레임 효과의 정의와 예시,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프레이밍 효과, 프레임 의존성이란? Framing Effect , Frame Dependence

프레이밍효과는 정보자체가 아닌 정보가 제시되는 방식에 따라 개인의 의사결정 과정이 변경되는 것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같은 내용이라도 말하는 사람이 어떤 관점을 갖고 말하냐에 따라서 선택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경험 등을 바탕으로 인식의 틀이 형성되고 이러한 틀에 따라서 같은 문제에 대해서 다른 관점을 가지게 되는데 이때 긍정적 프레임을 가지느냐 부정적 프레임을 가지느냐에 따라 의사결정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판단에 있어서 합리적인 선택을 했다고 생각하지만 본질적으로 감성적 판단에 의해서 의사 결정하는 경향이 강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가장 유명한 프레이밍 효과는 '물이 반만큼 담긴 컵'입니다.

"물이 반밖에  남지 않았네 "라고 생각할 수도 있고, "물이 반이나 남았네"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는 것이 프레이밍 효과입니다.

이러한 프레이밍 효과는 우리 두뇌에 상대적인 용어로 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정보가 긍정적으로 제시되면 잠재적인 이득으로 간주되어 위험 회피 반응을 촉발하고, 반대로 동일한 정보가 부정적으로 제시되면 잠재적인 손실로 간주되어 위험을 감수하는 접근 방식을 촉발합니다.

 

실제 프레이밍 효과 예시

  • 마케팅과 광고

제품이나 서비스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전략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소비자가 해당 제품이나 서비스를 더 가치 있고 필수적인 것으로 인식하도록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동일한 정보라 하더라도 "90% 무지방"이라는 문구가 "10% 지방"이라는 표현 보다 더 매력적입니다.

  • 의료 의사결정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에 따라 환자의 결정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의사와 의료 서비스 제공자는 치료 옵션을 신중하게 구성해야 합니다."수술 성공률을 90%"으로 제시하는 것이 "10% 사망률"로 제시하는 것보다 더 환자는 안심하게 됩니다.

  • 정치적 의사결정

정치인들은 프레이밍효과를 잘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정 관점에서 정책과 문제를 제시하면 여론을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습니다. 세금 감면을 '정부 수입 감소'라는 문구보다는 '복지혜택 강화로 인한 추가 세수'라는 문구가 여론을 흔들 수 있습니다.

  • 미디어 영향

흔히 말하는 "악마의 편집"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동일한 사건을 구성하는 방식에 따라서 시청자들은 다르게 받아 들일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서 계속해서 교내 체벌에 대해서 안 좋은 점만을 말하다가 교내체벌을 금지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면 금지해야 한다는 시청자가 많아지고, 교권 추락, 청소년들의 비행들을 이야기하다가 교내체벌을 금지해야 할까?라는 질문을 던지면 어느 정도의 교내체벌은 필요하다는 시청자들이 많아진다.

이외에도 선택할 때나 관계등에서 프레이밍효과는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결론

프레이밍 효과는 인간 인지의 복잡성을 매혹적으로 엿볼 수 있는 효과입니다. 우리의 결정이 순전히 합리적이지 않다는 점을 상기시켜 줍니다. 정보가 구성하는 방식에 영향을 받습니다. 마케팅 담당자, 정치인, 의료 서비스 제공자, 개인 모두 이러한 인지 편향을 이해하고 이를 사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의사소통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