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거미집 이론이란?

by 평사부 2023. 9. 27.
반응형

농업 경제학에서 특정 이론과 개념이 수요와 공급의 역학을 이해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러한 이론 중 하나인 거미집 이론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거미집이론이란? Cobweb Theorem

가격 변동에 대해 수요는 즉각 반응하나 공급은 시간차를 두고 반응하는 상품의 경우, 가격 폭등과 폭락을 반복하며 마치 거미집과 같은 모양으로 시장 균형에 도달한다는 이론

 

거미집이론은 농업경제학의 기본 개념으로 등장했습니다. 1934년 Nicholas Kaldor가 농업 시장의 주기적 변동을 설명하는 도구로 처음 사용 되었습니다. 농업 산업에서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의 복잡한 관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인 재화의 경우 수요가 변화하면 곧 공급도 함께 변화해 시장 가격이 안정되지만 농산물의 경우 가격 변동 시 수요는 즉각 반응하는 반면 공급은 생산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차를 두고 반응한다. 따라서 초과수요와 초과공급에 의한 가격 폭등과 가격 폭락을 반복하는 과정을 통하여 시장 균형에 도달하게 됩니다. 수요 공급 곡선상에서는 거미집과 같은 형태로 그리며 균형가격에 수렴되기 때문에 '거미집이론' 혹은 '거미집 모형'으로 불린다.

 

생산에서 판매까지 긴 시간이 요구되는 농산물에서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나게 되는데 배추가격이 급등하면 농부들은 배추를 많이 재배하게 되고, 배추를 수확할 때가 돼서는 공급량이 수요량을 초과하여 배추 가격이 급락하게 된다. 다시 농부들은 배추가 아닌 다른 작물을 재배하려고 할 것이며, 다시 수확기가 돼서는 배추의 공급량이 감소하여 시장에서는 초과수요가 발생하고 다시 배추 가격이 급등하게 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