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평사부입니다. 오늘은 부모와 자식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재산의 증여에 대해 필수적으로 알아야 할 '증여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특히 최근에 혼인과 출산과 관련하여 증여세 면제 한도가 상향조정되었다는 소식을 들으셨나요?
그러니 지금부터 저와 함께 자세히 살펴보시죠. 오늘의 주제는 2024년 증여세 면제 한도 상향, 증여세 계산하는 법에 대해 함께 알아봅시다.
증여세란?
증여세는 타인의 증여에 의해 무상으로 취득한 재산을 과세대상으로 하여 그것을 취득한 사람에게 부과하는 조세를 말합니다.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받은 수증자는 그 재산에 대한 증여세를 신고, 납부해야 합니다.
2024년 증여세율
2024년 증여세율은 전년도와 동일합니다. 과세표준 1억 원 이하일 경우 10% 세율을 적용받으며, 30억 초과 시 최대 50%의 세율을 적용받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는 가족 간 재산 이전 시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올해부터 혼인과 출산에 따른 면제 한도가 대폭 상향되었습니다. 이는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중 하나입니다.
2024년 증여세 면제한도 상향
부모가 자녀에게 주는 증여세 공제대상 범위는 미성년 자녀의 경우 2천만 원, 성년인 자녀의 경우 5천만 원까지 증여세가 과세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2024년에 부모가 자녀에게 주는 증여세 면제한도는 상향되었습니다. 결혼한 성년인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경우 1억 원을 추가 공제받을 수 있게 개정되었습니다.

이제 신혼부부를 위한 새로운 혜택을 살펴보겠습니다.
신혼부부는 기존의 5천만 원 비과세 한도에 더해 추가로 1억 원의 비과세 한도가 주어집니다. 이는 부부 각각에게 적용되므로, 부부가 양가 부모에게서 최대 3억 원까지 세금 없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 혜택은 혼인 신고일 전후 2년 이내, 즉 4년 동안 적용됩니다. 또한 결혼 여부와 상관없이 아이를 낳을 때도 양가에서 물려받은 재산 총 3억 원까지 증여세가 공제됩니다. 심지어 결혼하지 않고 아이를 낳은 경우에도 이 같은 추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결혼과 출산을 모두 진행할 경우, 양가 합쳐서 최대 3억 원까지만 증여세가 공제됩니다. 즉, 결혼할 때 부부가 양가로부터 총 3억 원을 지원받으면, 그 이후 아이를 낳고 추가로 양가로부터 지원을 받더라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증여세가 부과된다는 것입니다.
신고기한
증여세 신고기한은 증여일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개월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증여세 신고는 국세청 홈택스 도는 관할세무서에 방문하여 신고할 수 있습니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근로 자녀장려금 조건 및 기간 (0) | 2024.03.10 |
---|---|
2024년 주휴수당 뜻 주휴수당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03.09 |
2024년 의사 파업 이유 정리 의료계 집단행동 (0) | 2024.03.08 |
청년도약계좌 환승 방법 ,청년희망적금 청년도약계좌 비교 (0) | 2024.03.08 |
취락지구란? 취락지구의 정의 (0) | 2024.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