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주식 PBR 이란? PBR뜻

by 평사부 2021. 5. 8.
반응형

per에 이어서 pbr에 대해서 배워보려 합니다 

대단히 기초적인 지식이고 예전부터 오랫동안 써왔던 지표이기에 

그만큼 많이 사용되고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PBR 이란 ? PBR뜻 (Price Book value Ratio)

 

PBR은 주가(1주당가격)를 주당 순자산(자본금, 이익잉여금, 자본잉여금의 합) 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PBR계산법

주가가 주식회사가 가지고있는 순자산과 비교해 몇 배로 거래되는지 판단하기 위한 지표

PBR이 높을수록 고평가 낮을수록 고평가라고 할 수 있으나 

이것은 무조건 저평가다 무조건 고평가다라고 할수는없습니다 

만약 PBR이 1이나 1이하 또는 1에 가까워도 조심해야 합니다

모든 주식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서 결정되기에 

파는 사람이 많고 사는 사람이 적을 경우에 가격이 떨어집니다 

PBR이 낮을수록 저평가 기업인 것은 맞지만 

꾸준하게 떨어지고 있는 기업일 경우가 많습니다 

최악의 경우엔 주식이 휴지 쪼가리 즉 상장 폐지될 수 있습니다

또한 너무 고 PBR일 경우 위험합니다 기업에 부채, 빚이 많은 경우 이거나 

버블 즉 과열 상태 일수 있습니다 

반대로 고 PBR인 경우에도 회사에 대한 미래가치나 

좋은 실적 좋은 상품을 가지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주식은 미래가치를 반영하기에 충분히 높은 PBR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만약 회사가 독점권이나 특허기술 미래지향적인 기술을 가지고 있어서 

자산에 반영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ex) 비트코인에 투자해 수익을 거 둔 회사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비트코인을 팔아서 달러 , 현금으로 들고 있지 않으면 자산으로 포함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개인적인 생각

PBR, PER 등 지표는 투자판단에 도움을 주는 것은 맞지만 

이를 맹신하고 투자하여서는 안됩니다 

그리고 PBR,PER등 지표를 모른다고 해서 주식을 못하는 사람이라고는 할 수 없습니다 

주식은 미래가치를 보고 사는 것이기에 이런 지표 들은 현재 기준을 보고 판단하는 것입니다 

도움은 될 수 있지만 완벽할 수는 없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