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주식 평단가란? 불타기란? 물타기란?

by 평사부 2021. 9. 29.
반응형

주식에서 평단가 뜻, 불타기 뜻, 물타기 뜻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평단가란?

평단 가는 평균단가의 줄임말로 총 매입금액을 총주식수로 나눠서 주식 하나당 매입 가격입니다.

쉽게 말해 주식 하나당 얼마에 매입했는지를 말합니다.
평균단가가 높다면 비싸게 주식을 샀다는 것이고,
평균단가가 낮다면 싸게 주식을 샀다는 것입니다.


주가가 하락해도 주식을 매수해 평균단가를 낮추는 경우를 쉽게 주식 물타기라고 부르며,

주식 물타기란? 물타기의 위험성

 

주식 물타기란? 물타기의 위험성

주식투자에서 물타기의 뜻과 위험성 및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주식 물타기란? 주식 물타기는 주가가 하락하여 손해를 보고 있을 때 저가에 매수해 평균 매입단가를 낮추는 것 쉽게 말

normal-humanrich.tistory.com

주가가 상승해도 주식을 매수해 평균단가를 높이더라도 주식수를 늘리는 경우를 쉽게 주식 불타기라고 말합니다.


주식 불타기란?


불타기는 주가가 상승해도 평균단가가 높아진다고 하더라도 주식을 매수해 주식수를 늘리는 경우를 말합니다.

현재의 주가보다 평단가가 높다고 하더라도 주식수를 늘리기 위해 주식을 매수하는 것을 말하며, 계속해서 주가가 상승하거나 현재의 주가가 기업의 가치보다 싸다고 본인의 판단에 의해 추가 매수한다면 문제가 없지만, 아무런 판단이나 이유 없이 불타기를 하는 경우에는 평단가만 올릴 수도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1년 전 주가가 1만 원이었던 주식이 있었다고 생각해봅시다. 계속해서 주가가 올라서 1년이 흐린 뒤에 2만 원이 되었다고 해봅시다. 그러면 더 주가가 오를 것이라 생각해 불타기 해 주식수를 늘려야 하는지, 더 이상 주가가 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해 차익 실현할지는 본인의 판단입니다. 

본인이 판단하기에 현재의 주가보다 더 오를 것이라고 생각한다면 불타기를 해서 주식수를 늘려 실제로 주가가 오른다면 더 큰 수익을 볼 수 있을 것이고, 실제로는 주가가 떨어진다면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남의 말을 듣고 투자하기보다는 자신의 판단과 자신이 기업가치를 매겨 투자해야 수익을 볼 수 있으며, 본인의 판단 없이 투자하는 것은 도박을 하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처음에는 수익을 볼 수도 있지만 투자를 오래 이어가면 손해를 보지 않는다면 다행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