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주식 조정이란? 무엇인가

by 평사부 2021. 9. 23.
반응형

주식 조정 뜻과 개념 그리고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주식시장에서 조정이란?

조정은 주가가 상승하다가 특정한 상황, 요인에 의해서 상승을 멈추고 하락 또는 횡보하는 상황

조정은 조정기간, 조정, 기반을 다진다, 지지기반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주가가 강하게 상승해서 차익실현을 하고 싶어 하는 투자자가 생기거나 ETF 등의 기계적인 매도(비중 조절을 위해)등의 이유로 인해서 주가가 하락 또는 횡보하는 경우를 이야기하며, 이 횡보 또는 하락하는 기간을 "조정기간" 또는 "바닥을 다진다" 등으로 표현합니다. 큰 악재로 인한 큰 하락의 경우에는 조정이라고 부르지는 않습니다. 별다른 뉴스, 호재, 악재가 없는데 주가가 하락하는 경우에 조정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조정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 예약 매수자가 많아지면서 주가 급락을 막아준다.

보통의 경우에 가파르게 주가가 상승하거나 너무 많이 상승했을 때 조정기간을 거치는 경우가 많으며, 조정을 하게 되면 지지기반을 다질 수 있습니다. 즉 하락했을 경우에 주가가 싸다고 투자자가 생각해 주식을 매수하려는 매수자가 많아지게 됩니다. 그래서 매물대, 즉 예약 매수자가 많아지게 되어 주가 급락을 막아주게 됩니다. 

주가는 계속해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면서 상승하거나 하락하게 됩니다. 주가가 일정기간 횡보 후 상승하게 되면 주가가 내려오면 사려는 매수자가 많아지면서 하락을 막아주는 기반이 튼튼해지게 됩니다. 이렇게 매물대가 튼튼해지게 되면 주가가 크게 하락하는 것을 막아줍니다.

 

  • 주가 버블, 주식 가격의 거품이 적어진다.

주가가 조정을 받지 않고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면 주가는 거품이 만들어지며, 기업의 가치보다 높은 주가를 형성하게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적절한 시기에 주가가 조정기간을 거치게 되면 거품이 적어지며, 기업의 진정한 가치를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보시는 게 좋습니다. 

 

정리

적절한 횡보와 적절한 조정은 주식시장에 꼭 필요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닷컴(it) 버블의 사태를 보면 주가가 너무 가파르게 상승하게 되면 거품이 한순간에 없어지면서 큰 하락으로 인해 엄청난 손실을 볼 수 있기에 정상적인 주식이라면 지지기반을 다져주고, 주가 버플을 없애주는 일을 해주기에 꼭 필요한 과정입니다. 주린이 분들에게는 하락을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불안, 공포 등등의 상황이지만 건강한 주식이라면 꼭 거쳐야 하는 성장통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시고 기업에 대한 공부와 조사가 끝난 상태라면  "주가가 많이 상승해서 조금 하락하는구나"라고 생각하시면서 투자해 나가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