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주식 동전주와 지폐주

by 평사부 2021. 10. 7.
반응형

주식에서 흔히 부르는 동전주와 지폐 주, 황제주의 뜻과 특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동전주란?

동전주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1주당 가격이 1000원 미만의 주식을 말합니다.


한국의 주식시장 기준으로 1000원 이하의 주가를 가진 주식들을 흔히 동전주라고 부르며, 각각의 나라마다 동전과 지폐의 실질적인 가치가 달라 기준이 되는 가격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1달러 지폐는 한국돈으로 환산하면 1200원 정도의 가치가 있습니다. 미국 증시에 1주당 1달러 이하의 주식을 동전주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즉 한국돈으로 1200원 이하의 주식이 동전주가 되는 것입니다.

 

동전주 특징

  • 현재 1주당 가격보다 액면가가 중요하다.

 

주식 액면가란 무엇인가?

 

주식 액면가란 무엇인가?

액면가의 뜻과 개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액면가란? 액면가는 말 그대로 액면 가격, 회사가 창립할 때 발행할 주식의 총수와 함께 1주당 가격을 결정하는데 이때 결정된 1주당 가격이 액면가입

normal-humanrich.tistory.com


액면가 즉, 주식을 발행할 때 처음 주식의 가격이 중요합니다. 만약 액면가가 1000원인 주식이 현재 주가가 500원이라면 주가가 계속 하락했다는 의미지만 액면가가 100원인 주식이 현재 주가가 500원이라면 주가가 5배나 올랐다는 것입니다.

  • 투자자 대부분이 개인투자자이다.

기관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보다 개인투자자가 많으며, 기관투자자와 외국인 투자자는 비교적 등락폭이 작은 시가 총액이 큰 대형주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투자자가 동전주에 투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거래량이 적어 급등주, 작전주, 테마주가 많아 투기성이 높다.

동전주의 경우에 시장에서 투자자들에게 소외받은 주식인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거래량이 적어 주가 등락폭 이 큽니다. 주가조작 세력들이 작전주로 쓰는 경우가 흔하며, 거래량이 증가하면 주가가 크게 오르기 때문에 급등주 나 테마주가 많습니다. 그래서 투자보다는 투기성 성격이 짙습니다.


주식초보자들에게는 동전주 같은 시가총액이 작은 주식을 권하지 않습니다. 주가 변동폭이 크고 상장폐지의 위험도 크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주식에는 정답은 없습니다. 기업에 대한 조사나 공부 뒤에 동전주에 투자하는 것은 개인의 판단입니다.

 

지폐 주란?

지폐 주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1주당 1000원 이상의 주식을 말합니다.


동전주와 마찬가지로 각 나라의 통화마다 기준 가격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1주당 1달러 이상의 주식이 지폐 주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지폐 주 특징


대부분의 주식이 지폐 주에 포함된다.


거의 대부분의 주식들이 지폐 주에 해당하며, 1주당 가격이 1000원부터 100만 원 미만의 주식들을 모두 지폐 주라고 부르기 때문에 세부적으로 시가총액에 따라서  소형주, 중형주, 대형주로 구분하거나 섹터별로 구분하지 않는 이상 지폐 주라고 해서 뚜렷한 특징을 말하기 어렵습니다.


황제주란?


황제주는 주식시장에 상장된 1주당 가격이 100만 원이상의 주식을 말합니다.


황제주 특징

  • 거래량이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1주당 가격이 100만 원이 넘어가기 때문에 다른 지폐 주들에 비해서 거래량이 적은 것이 일반적입니다.

 

  • 개인투자자보다 기관, 외국인 투자자가 많다.

1주당 가격이 높아 개인투자자들이 투자하기에는 부담스러운 면이 있어 큰 자금을 가진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가 많습니다.

  • 주가 등락폭이 비교적 작은 편이다.

액면분할을 하지 않고 주가가 상승해 100만 원의 가격을 만든 것이기 때문에 거래량도 적지만 주가가 급락하거나 급등하는 경우가 동전주나 지폐 주에 비해 적어 비교적 주가가 안정적인 편입니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급등주란? 테마주란?  (0) 2021.10.12
주식 우량주란?  (0) 2021.10.08
주식 산타랠리란?  (0) 2021.10.07
주식 작전,작전주란? 주포란?  (0) 2021.10.01
주식 보합이란? 보합권  (0) 2021.09.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