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시뇨리지란? Seigniorage
시뇨리지(Seigniorage)는 화폐 발행을 통하여 정부가 얻는 이익, 화폐의 액면가에서 제조 비용을 뺀 것
쉽게 말해서 1만 원짜리 지폐를 만드는데 1천 원이 든다면 정부는 9천 원의 이익을 본다. 이 9천 원을 시뇨리지라고 본다. 정확히 따져보면 연간 총액은 유통통화량 X 시장이자율-(제조비용+유동비용)으로 계산한다. 정확하게 말해서는 유동비용, 제조비용을 빼고 시장이자율과 유통통화량을 곱한 값이다.
시뇨리지는 시뇨르(영주)들이 화폐주조를 통해 이득을 챙겼던 데에서 유래했다. 오늘날 국가는 화폐발행권을 통해 엄청난 시뇨리지를 얻게 되는데 대부분의 나라들은 시뇨리지가 국내에 국한되지만 기축통화인 미국의 경우 세계를 대상으로 천문학적인 시뇨리지를 얻게 된다. 다시 말해서 1억 달러를 찍어내서 이를 외국 상품 수입에 쓰게 되면 화폐를 발행하는 비용을 제외하는데 1000만 달러를 사용했다면 1000만 달러를 이용해서 실물가치 1억 달러 상품을 구입하게 되는 것이다.
반응형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환전환우선주란? RCPS (0) | 2023.02.12 |
---|---|
신용 경색이란? 대출이 되지않아 기업이 어려움을 겪는 현상 (0) | 2023.02.12 |
소득주도 성장이란? 소득주도성장론 (0) | 2023.02.11 |
부채담보부증권 CDO란? (0) | 2023.02.10 |
자국의 국제경쟁력을 보호가위한 보호무역주의란? (0) | 2023.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