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융지식742

(주식)레버리지 ETF란 무엇인가? 장기투자는 위험한가? 레버리지 ETF란? 특정 지수(벤치마크)의 주가를 몇 배수의 비율의 수익을 추종합니다 지수가 1%가 상승하면 그의 2 배수 혹은 3 배수인 2% , 3%가 상승하는 상품입니다 반대로 지수가 1%하락하면 2배 3배인 2%,3% 하락하는 상품입니다. 레버리지 etf 음의 복리효과 레버리지 ETF 일별 복리 현상 자료 : 한국거래소 그림과 같이 하루 10%가 오르고 다음날 10%가 떨어지면 점점 자산이 떨어지는 것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그림과 같이 하루하루 같은 비율로 상승 하락하면 계속해서 자산은 없어집니다. 기본적으로 레버리지 상품은 주식장이 횡보를 하면 계속해서 하락합니다 그래서 장기 투자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말을 많이 합니다 과연 레버리지 상품은 장기투자로 부적합한가? 아래 차트는 1885년 2월부터 .. 2021. 5. 5.
분산투자(자산배분)란 무엇일까? 왜 해야할까 ?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주식이나 투자를 하게 되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말이다 한 곳에 투자를 몰아서 하지 말라는 의미로 많이 쓰인다 한곳에 집중투자를하게되면 큰 수익률을 볼 수도 있겠지만 반대로 큰 손해를 볼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서 분산투자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분산투자(자산배분)란? 분산투자는 100만원이라는 돈이 있다면 25만원은 주식에 25만 원은 채권에 25만 원은 금에 25만 원은 부동산에 이렇게 투자를 여러곳에다가 하는 것입니다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휴대폰을 만드는 A회사와 B회사가 있다고 칩시다 A회사에 50% B회사에 50%를 투자하는 것은 분산투자로 보기 힘듭니다 비슷한 경향을 가진 회사나 투자처를 분산 투자하는 것은 의미가 거의 없습니다 주식이라 고치면 거의.. 2021. 5. 4.
주식이란 무엇인가 ? 재테크나 투자 돈 벌기 자산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라면 주식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다 과연 주식이란 무엇인가 어떤 것일까? 주식(stock) 주식회사의 자본을 이루는 단위 혹은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받기 위해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고 발행하는 증서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회사의 시장가치를 나눠서 여러 명이 나눠가진 것입니다 100억 인 회사가 있습니다 이 100억짜리 회사를 a라는 사람에게는 10억 b라는 사람에게는 50억 c라는 사람에게는 30억 d라는 사람에게는 10억 이런 식으로 나눠주고 싶다고 칩시다 그러면 1개당 1억짜리 주식을 발행해 a에게는 10개 b에게는 50개 c에게는 30개 d에게는 10개 이런 식으로 나눠가질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주주 : 주식을 가지고있는사람 즉 소유하고 있는 주식비율.. 2021. 5. 3.
펀드란 무엇인가? 주식열풍이 불고 코인 투자에 관심이 높아 짐에 따라 펀드나 주식 부동산 등 투자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 처음 주식투자나 주식거래를 하기 위해 증권사에 가서 계좌 개설이나 상담을 하게 되면 듣게 되는 게 펀드 추천이나 설명을 듣게 될 것이다 그래서 펀드가 무엇인지 알아보자 펀드란? 사전적 의미는 "특정 목적을 위해 모은 자금"을 말한다 한 개당 1000원인 빵이 있다 1000원인 빵이 10개 묶음은 9000원이라고 하면 900원씩 10명을 모아서 빵을 사면 개당 900원에 살 수 있다 이런 것도 사전적 의미로는 펀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금융 투자에 있어서 펀드라고 하면 무엇일까? 자산운용사에서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하기 위해 불특정 다수에게 모은 돈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자산운용사가 돈을 모아.. 2021.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