핫머니란? hot money
핫머니는 국제금융시장을 이동하는 단기자금뿐만 아니라 국내시장에서 단기적인 차익을 따라 이동하는 투기자금이다.
정치적, 경계적으로 불안정한 나라에서 안정된 나라로 이동하는 자본 도피와 국제 간 금리차나 환시세 변동을 예측하고 환차익을 목적으로 하는 투기적 이동 크게 2가지가 있다. 1935년 미국의 루스벨트 대통령이 사용하면서 대중화되었다.
핫머니의 특징
- 자금이동이 단기간에 대량, 유동적 형태를 가진다.
핫머니는 돈의 움직임이 빠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으로 자금 이동이 일시에 대량으로 짧은 시간에 이뤄지고 자금이 유동적 성격을 가집니다. 그래서 외환수급 관계를 크게 동요시켜서 국제금융시장의 안정적이지 못하게 합니다. 자금 유출국에 있어서 국제 수지의 악화, 환율 하락, 통화 불안 증대 등의 경제적인 균형을 파괴시킨다. 자금 유입국에게도 있어서 과잉 유동성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 등의 영향을 끼치게 된다.
- 핫머니는 산업자금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적다.
한 발 앞선 정보력과 자금 동원력을 바탕으로 공격 대상 국가의 주식 및 외환시장에 거품을 만든 뒤에 거액을 챙기고 짧은 시간에 빠져나 가기 때문에 산업자금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것이 핫머니를 규제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많이 나오는 이야기이다.
1994년 멕시코 외환위기, 1995년 영국 베어링 증권파산, 1997년 동남아위기 등이 세계적인 금융혼란에는 핫머니 때문이라고 바라보는 시각이 많다.
- 긍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시선
핫머니는 고도성장을 하는 국가에서는 개발자금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시장 환율이 정상에서 벗어났을 때 이를 되돌리는 국제금융의 경찰 역할을 하며 주식이나 외환가격이 떨어질 때 핫머니는 오히려 바닥점을 예상하고 매수에 나서므로 주식 및 외환시장에 안정을 기여한다는 주장이다.
'금융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터너 족이란?Re-turner族 (0) | 2023.11.28 |
---|---|
마태효과란? (1) | 2023.11.26 |
스필백이란? spill back (0) | 2023.11.21 |
스낵 컬쳐란?snack culture (1) | 2023.11.21 |
캣본드란? cat bond , catastrophe bond 재난채권 (1) | 2023.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