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세일 앤드 리스백(Sale And Leaseback) 복잡한 재무 용어 쉽게 이해해보자

by 평사부 2024. 2.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평사부입니다. 오늘은 재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 중 하나인 '세일 앤드 리스백'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세일 앤드 리스백의 개념과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세일 앤드 리스백 이란?

세일 앤드 리스백은 '판매 후 임대회수'라는 뜻입니다.

 

기업이 자신이 보유한 자산을 팔아 현금을 얻고, 그 팔린 자산을 다시 임대해 사용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면서도 자산을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세일 앤드 리스백 장단점

[장점]

  • 자금조달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팔아 현금을 얻어 조달한 자금으로 새로운 투자, 기업 운영자금, 빚 갚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 재무 구조 개선

기업의 자산을 팔아 자금을 조달하면, 그로 인해 부채 비율이 줄어들고 자본 비율이 높아져 재무 구조가 개선됩니다. 이는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세금 절감

팔린 자산을 임대하여 사용하게 되면, 이 임대료는 비용으로 인식되어 세금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

 

[단점]

  • 장기 비용 증가

임대료를 지속적으로 지불해야 하므로 장기적인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자산 소유권 상실

판매된 자산의 소유권은 판매자에게 넘어가므로, 장기적으로 보면 기업의 자산 가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세일 앤드 리스백은 단순히 자금 조달뿐만 아니라 재무 구조 개선, 세금 절감 등 다양한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장기 비용 증가, 자산 소유권 상실 등의 단점도 함께 고려해야 하는 전략입니다. 이를 통해 자신의 기업에 맞는 최적의 재무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일 앤드 리스백 전략을 많이 활용되는 산업군

세일 앤드 리스백 전략은 특정 산업군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산업군에서 활용되지만, 특히 자산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산업군에서 더욱 활발하게 이용됩니다.

  • 항공 산업

항공사들은 항공기를 판매 후 임대받아 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고가의 항공기를 운용하면서도 자본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부동산 산업 

오피스 빌딩, 쇼핑몰, 호텔 등 큰 규모의 부동산을 보유한 기업들은 자산을 팔아 현금화하고, 그 자산을 임대해 계속 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제조 산업

무거운 장비와 시설을 보유한 제조업체들도 이 전략을 활용합니다. 기계, 공장 등을 팔아 자금을 조달하고, 그 자산을 다시 임대해 사용함으로써 생산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

  • 소매 산업

대형 소매점들은 자산들이 운용하는 매장 건물을 팔고 임대하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