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리픽싱(Refixing)뜻 주식시장의 가격 재조정 이해하기

by 평사부 2024. 5.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평사부입니다. 리픽싱은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개념 중 하나입니다. 이 글을 통해 리픽싱이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사용되는지, 그리고 그것이 투자자와 기업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리픽싱이란?

    리픽싱은 주식시장에서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가격을 재조정하는 과정을 말합니다.

    이러한 재조정은 투자자가 CB와 BW를 특정 기간 내에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을 때, 주가가 크게 떨어질 경우에 실행합니다.

    리픽싱의 작동 원리

    투자자가 CB와 BW를 구매하면, 이를 약정된 기간 내에 회사의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습니다. 만약 회사의 주가가 행사가격 아래로 떨어지면, 리픽싱 조항이 활성화되어 행사가격을 주가에 맞게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조정은 리픽싱 조항이 포함된 CB와 BW에서만 가능합니다.

    리픽싱의 장단점

    리픽싱은 발행 기업에게 낮은 금리로 자금을 조달하고, 재무 건전성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주가의 급등락으로 인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는 대규모 주식 전환으로 인해 주가가 더욱 하락하거나, 주가가 정상화된 후 차익실현 경향이 강해질 수 있습니다.

    한국의 리픽싱 조건

    2002년부터 한국에서는 리픽싱 조건이 강화되어, 발행 시 행사가격의 30% 이내에서만 리픽싱이 가능합니다. 또한, CB와 BW를 공모를 통해 불특정다수에게 발행한 경우, 주식 전환 가능 시점을 발행 후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하여 주가 움직임에 따른 자유로운 전환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결론

    리픽싱은 주식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격 재조정 메커니즘입니다. 투자자와 기업 모두에게 장단점이 있지만, 재무 건전성을 높이고 자금 조달을 유리하게 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한국에서는 리픽싱 조건을 강화하여 시장의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 글을 통해 리픽싱의 개념과 작동 원리, 그리고 그것이 한국 주식시장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이해하셨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