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지식

경제적 해자란?

by 평사부 2022. 7. 5.
반응형

유명한 가치투자가 워런 버핏이 처음 언급한 경제적 해자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경제적 해자란?

경제적 해자(Economic Moats)는 회사를 경쟁사로부터 보호하는 독점적인 경쟁력이라는 의미는 가진다.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처음 언급하면서 알려졌다. 사실 해자(moats)는 과거 중세시대에 성 밖의 둘레를 파서 적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만든 연못을 의미하지만, 경제적인 개념으로 가져오면서 회사를 보호하는 독점적인 경쟁력이라는 의미로 개념이 굳혀졌다. 또한, 경영학 관점에서는 확고한 '진입장벽' 혹은 기업의 장지적인 성장가치 척도라고 보기도 한다.

 

쉽게 설명하게 되면, 경제적 해자는 경쟁사로부터 기업을 보호해주는 높은 진입장벽 혹은 확고한 경쟁 우위를 뜻한다. 즉, 경쟁사가 쉽게 진입할 수 없게 해 주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다.

 

경제적 해자의 대표적인 종류

  • 무형자산

실체는 없으나, 브랜드 파워, 특허권, 라이선스 등의 형태가 없는 자산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많은 진통제가 있지만 한국인들에게 진통제 하면 생각나는 브랜드는 타이레놀처럼 비슷한 성분의 진통제는 많지만 약국에서 '진통제 주세요'라는 경우보다 '타이레놀 주세요'라고 말하는 것처럼 브랜드 파워가 강하다는 것이다. 이외에도 퐁퐁(주방세제), 신라면, 마데카솔, 대일밴드 등 여러 가지가 있다. 무형자산은 브랜드 파워 외에도 압도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거나 특허권을 가지고 있어 다른 기업들이 함부로 진입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 높은 전환 비용

특정 제품을 사용하다가 다른 제품 혹은 서비스로 전환하기 위해 발생하는 모든 비용을 말한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은행을 한 곳을 사용하면 같은 은행에서 신용카드를 만들어서 사용하고, 같은 은행에서 대출을 받거나 적금, 예금을 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은행으로 전환하게 될 때 상당한 시간과 노력, 심리적 저항이 발생하기도 하고 실제로 실적이 적어져 대출이율이 올라가거나 적금 이자가 적어지는 손해를 보기 때문에 전환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외에도 많은 플랫폼 기업들(쿠팡, 네이버, 카카오 등)이 높은 전환 비용을 가지고 있는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 네트워크 효과

사용자가 증가하면 가치가 상승하는 효과를 말한다. 예를 들어서 모바일 메신저는 많은 종류가 있지만 한국에서는 거의 카카오톡을 사용한다. 대부분의 한국사람들이 카카오톡을 사용하기 때문에 원활하게 톡을 주고받기 위해서 사용한다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 효과로 인해 다른 경쟁기업들이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 기업과의 경쟁이 쉽지 않다. 플랫폼 기업들이 사용자들을 어떻게든 늘리려는 이유가 여기 있다.

  • 원가 우위

경쟁사에 비해 낮은 가격으로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당연히 똑같은 품질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라면 더욱 저렴한 것을 구매하는 소비자가 많다. 경쟁사에 비해 원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통해서 경쟁기업의 진입을 막는 진입장벽을 세운다고 볼 수 있다.

 

 

반응형

댓글